논문 상세보기

삼척지역의 불교유적 - 폐사지를 중심으로 -

Buddhist Ruins in Samcheok Area- Mainly with ruined templ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075
  • DOIhttps://doi.org/10.16897/isabu.2015.10.0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삼척의 불교문화는 선덕여왕 11년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오대산에 들어가 관음보살의 聖蹟을 찾던 중 두타산에 이르러 흑련대를 처음으로 창건하여 현재 삼화사의 시초가 되었다는 󰡔삼화사사적󰡕, 이 후 선종이 전국적으로 퍼진 통 일기에 범일국사가 강릉의 굴산사를 세운 이래 삼척지역에도 불적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아 신라 하대에는 유입, 전파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삼국시대의 불교문화의 전래 이후 고려시대 말까지 호국불교로 크게 발전하였고, 강원도의 사찰의 불교는 더욱 신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 강원도에 분포하는 불교유적, 유물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 않아 전반적으로 불교문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글은 강원도 삼척시·동해시·태백시를 중심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폐사지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지조사를 통해 사지가 유존하거나 출토된 석조물, 와편 등을 함께 검토하였다. 문헌기록과 현지조사를 통해 삼척·동해·태백 내에서 폐사지는 현재 총 61개가 확인되었다. 삼척 34개소, 동해 11개소, 태백 16개소이며, 연구소에서 확인한 폐사지는 삼척 4개소, 동해 3개소, 태백 5개소이다. 현재 삼척지역의 폐사지는 완전히 조사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다. 사지로 추 정되거나 구전되는 곳을 확인한 결과 유구나 유물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자연재해 및 현상변경으로 등으로 인하여 명확히 소재지를 파악할 수 없는 곳들이 요소에서 확인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 폐사지 조사를 통하여 시·발굴된 유적은 흥전리사지, 지상사지, 본적사지 등이 있다. 그 중 최근 흥전리사지가 시·발 굴조를 통하여 건물지, 석축, 탑지 등을 확인하였고, ‘국통’명 비편, 청동제 장식, 철제 초두 등 통일신라시대의 불교문화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종합정비계획을 수반한 정밀발굴조사가 이루진다면 인근의 폐사지와 비교연구는 물론 강원도의 불 교문화를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Considering that while Jajangyulsa in 11th year of Queen Sunduk returned from Tang and went to Odaesan to discover holy tra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he arrived at Dutasan and first founded Heukryeondae to become the root of present Samhwasa and that Buddhist ruins were also formed in Samcheok area since Beomil-guksa built Gulsansa in Gangneung during reunification period when Zen Buddhism widely spread on a nation-wide scale after
So, since introduction of Buddhist culture during the epoch of the three Kingdoms, it was greatly developed as Buddhist thought for country up to the end of Goryeo period and it is estimated Buddhism of temples in Gangwon-do must have much strengthen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overall Buddhist culture because proper investigation has not been made on Buddhist ruins and relics currently dispersed in Gangwon-do.
Thus, this study looked into status of ruined temple mainly in Samcheok-si/ Donghae-si/Taebaek-si through literature search, and reviewed stone work and pieces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remaining sites through site survey.
Total 61 ruined temples were confirmed in Samcheok/Donghae/ Taebaek through literature records and site survey at present. Samcheok has 34 places, Donghae 11 places, and Taebaek 5 places while ruined temples confirmed by the laboratory were Samcheok 4 places, Donghae 3 places, and Taebaek 5 places At the moment, we cannot say ruined temples in Samcheok area have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According to checking of a place estimated or orally transmitted as a temple site, no structure or relics were found in many cases and a lot of locations could not be clearly found due to natural disasters and shape alteration. Ruins bored·excavated through investigation of ruined temples since 1990s were Heungjeonrisaji, Jisansaji, Bonjeoksaji, and etc. Among them, building site, stone wall, and tower site of Heungjeonrisaji were lately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boring and such Buddhist culture of Unified Silla Period was confirmed as “Guktong” Bipyeon, bronze decorations, steel Chodu.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mparative research with adjacent ruined temples will surely provide precious data to understand Buddhist culture of Gangwon-do if detailed investigation accompanied by a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is done.

목차
Ⅰ. 머리말
 Ⅱ. 문헌에서 확인된 사지 현황
 Ⅲ. 사지 현황 조사
 Ⅳ. 맺음말
 [ABSTRACT]
저자
  • 김선(불교문화재연구소) | Kim 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