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이용한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레이더강우의 효용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adar Rainfall by Comparing with Flood Inundation Record Map Using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3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자료와 격자기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KIMSTORM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을 이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레이더 강우자료의 효용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남강댐 유역(2,293 km²)을 대상으로, 2012년 4개의 강우 이벤트(집중호우, 카눈, 볼라벤, 산바)에 대하여 비슬산 레이더 강우자료를 사용하였다. 분포형 모형은 28개 지점 강우와 레이더 강우를 이용하여 보정되었으며, R²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ME(model efficiency), VCI (volume conservation index)를 이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보정결과, R², ME, VCI의 평균이 지점강우 를 이용한 경우 각각 0.85, 0.78, 1.09, 레이더 강우를 이용한 경우 각각 0.85, 0.78, 0.96의 결과를 보였다. 태풍 산바에 의한 하천범람 침수실적자료의 두 침수지역(신연지구와 문대/신기지구)과 레이더와 지상강우에 의한 유출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신연지구와 문대/신기지구 두 침수지역에서 레이더강우가 지상강우보다 더 많은 지역강우를 발생시켜 지표유출량을 더 크게 모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위관측소가 존재하는 문대/신기지구의 경우, 지점강우보다 레이더 강우가 침수지역내 수위관측소의 실제 첨두유량에 가깝게 모의하였으며, 하천수위도 0.72 m 높게 모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by comapring with the flood inundation record map through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For Namgang dam (2,293km²) watershed, the Bisl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r 3 typhoons (Khanun, Bolaven, Sanba) and 1 heavy rain event in 2012 were prepared. For both 28 ground rainfall data and radar rainfall data, the model was calibrated using observed discharge data at 5 stations with R²,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and Volume Conservation Index (VCI). The calibration results of R², ME and VCI were 0.85, 0.78 and 1.09 for ground rainfall and 0.85, 0.79, and 1.04 for radar rainfall respectively. The flood inundation record areas (SY and MD/SG district) by typhoon Sanba were compared with the distributed modeling results. The spatial distribution by radar rainfall produced more surface runoff from the watershed and simulated higher stream discharge than the ground rainfall condition in both SY and MD/SG district. In case of MD/SG district, the stream water level by radar rainfall near the flood inundation area showed 0.72 m higher than the water level by ground rainfall.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대상유역
  2.2 분포형 모형의 개요
  2.3 지점/레이더 강우 및 유량자료
  2.4 GIS 자료 및 공간매개변수
  2.5 침수실적자료 및 침수지역 파악
 3. 결과 및 고찰
  3.1 모형의 보정
  3.2 침수기간 동안의 지점 및 레이더 강우 비교
  3.3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침수지역 유출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안소라(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박사수료) | Ahn, So Ra
  • 정충길(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 Jung, Chung Gil
  • 김성준(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 Kim, Seong Jo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