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새로 조성된 간척지에서 사료맥류 종자의 안정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량을 구명코자 2011년부터 2013년까지수행하였다. 청보리와 트리티케일은 ha당 200, 300 및 400 kg호밀과 귀리는 ha당 100, 200 및 300 kg을 파종하고 토양화학성과 작물별 수량성을 조사 하였다. 사료맥류의 출현율과 입모율은 호밀, 트리티케일, 청보리, 귀리 순으로 높았다. 사료맥류 종실의 질소 함량은 트리티케일, 호밀, 보리, 귀리 순으로높았고 트리티케일과 호밀은 파종량 증가에 따라 질소함량이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사료맥류의 종실수량은 트리티케일, 귀리, 호밀, 청보리 순으로 많았다. 파종량에 따른 종실수량은 청보리와 트리티케일은 ha당 300 kg에서, 호밀과 귀리는200 kg에서 많았다. 수량구성요소 중 m2당 이삭수가 종실수량에 큰 영향을 미쳤고 수당립수와 천립중은 파종량 감소에 따라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 새로 조성된 간척지에서동계 사료맥류 종자의 안정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량은 ha당 청보리는 320 kg, 트리티케일은 290 kg, 호밀은 220 kg, 귀리는210 kg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seeding rate of winter cereal forage crops(WCFC) for stable seed production in newly reclaimed land. Plots of barley and triticale were treated with seeding rate of 200, 300, and 400 kg ha−1. And, plots of rye and oat were treated with seeding rate of 100, 200, and 300 kg ha−1. Emergence rate and seedling establishment were higher in order of rye, triticale, barley and oat. Plant height of triticale and rye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seeding rate. Number of panicl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eeding rate. Grain yield was higher in order of triticale, oat, rye, and barley. Grain yield of barley and triticale were the highest at seeding rate of the 300 kg ha−1. Grain yield of rye and oat were the highest at seeding rate of the 200 kg ha−1. Number of panicles per unit area (m2) greatly influenced on grain yield. Thousand grain weight and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increased with decreasing seeding rate. As the result, the seeding rate of barley (320 kg ha-1), triticale (290 kg ha−1), rye(220 kg ha−1), and oat(210 kg ha−1) would be recommendable for seed production of WCFC in newly reclaimed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