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성과 시비량에 따른 강활(羌活)의 생육과 수량변화 KCI 등재

Effect of Soil Texture and NPK Fertilizers Application Level on Growth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1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강활의 재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다섯 종류의 토성과 및 3요소 시용량을 표준, 1/2량, 1.5배량을 달리 하여 포트시험으로 강활의 생육상황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재배기간 중 월별 평균기온은 평년에 비해 5, 6, 8, 10월만 높았으며 그 외는 같거나 낮았다. 그 결과 토성별 시비량에 있어서는 3요소 시비량이 많을수 록 생육이나 수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토양 이화학성중 유기물, 인산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다 른 화학성분들은 시비량과 유의성 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강활의 수량은 양토에서 가장 많았으며 식 토에서 가장 적었으므로 강활의 노두로 재배하는 북강활의 적정 재배 토성은 양토임이 밝혀졌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ous soil textures and NPK fertilizer application rates on growth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by pot experiment. Mean temperatures during cropping seasons of May, June, August and October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mal year, but also the values were equal or lower for the other period. The growth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in the 1.5 fertilization rates became higher as the fertilizer rates increased by different soil textures. The content of soil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orus were high by application of high fertilization levels, while another cont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ce. The yield of Ostericum koreanum was high in the loam soil by 278kg/10a. Those for clay soil was lower.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ptimum soil texture for cultivation of this plant could be loam soil.

저자
  • 허봉구(카톨릭상지대학 전통약재관리과) | Bong-Koo Hur Corresponding author
  • 김주현(경상대학교 원예학과) | Zhoo-Hyeon Kim
  • 오오진(카톨릭상지대학 전통약재관리과) | O-Jin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