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크셔종의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 Traits in Yorkshi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1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K GGP 종돈장에서 농장검정된 Yorkshire종 16,202두의 산육형질자료 를 근거로 다변량 통계모옇을 이용한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 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된 모든 산육형질에 대해 성, 출생년도, 출생계절, 산차 및 생시체중의 효과는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산육형질에 대한 생시체중 그룹의 효과는 생시 체중이 높은 그룹일수록 일당증체량 및 정육율은 높아지는 반면, 90 kg 도달일령, 등지방 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결과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시체중이 높은 그룹이 복 평균개체중과 복 총체중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력의 경우 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보다 10~30%까지 낮게 추정되었다. 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및 복의 효 과를 고려한 유전력 결과는 각각 일당증체량이 0.468, 0.328, 90 kg 도달일령이 0.474, 0.326, 등지방 두께가 0.452, 0.396, 등심단면적이 0.240, 0.200, 정육율의 경우 0.458, 0.380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최근 연구문헌의 자료 및 유전모수추정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확한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 분석시 복의 효과를 고려한 모델식을 적용하여 육종가의 정확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 traits using multivariate animal models in Yorkshire breed. For the study, 16,202 records for growth traits collected between the year 1999 and 2005 from Yorkshire pigs in K GGP were us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x, birth year, birth season, parity and birth weight group affected growth traits significantly (p<0.01). Birth weight tend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verage daily gain (ADG) and lean percent. But it seemed to affect age at 90 kg, average adjusted backfat thickness (BF), and eye muscle ares (EMA) negatively. For average pig suckling weight (ASW) and total weight at suckling (TWS), the higher birth weight is the better performance. But, in case of total number of born and number of suckling, the result was shown vice versa. Approximately 10~30% lower heritability estimates were obtained for growth traits by using the model that includes descriptions of common litter effects (CL) than by using the model that ignores those (NCL)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heritability.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were 0.468, and 0.328 for ADG, 0.474 and 0.326 for age at 90 kg, 0.452, and 0.396 for BF, 0.240 and 0.200 for EMA and, 0.458, and 0.380 for lean percent in NCL and CL, respectively. Therefore, in order to estimate optimal genetic parameter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statistical model which considers litter effects must be applied.

저자
  • 송광림(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Kwang-Lim Song
  • 김병우(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Byeong-Woo Kim
  • 노승희(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 Seung-Hee Roh
  • 선두원(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u-Won Sun
  • 김효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yo-Sun. Kim
  • 이득환(한경대학교) | Deuk-Hwan Lee
  • 전진태(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in-Tae Jeon
  • 이정규(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Gyu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