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거제 학동 동백나무림 주변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 KCI 등재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around Camellia japonica Stand in Hakdong, Geoje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1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거제도 학동 동백나무림 보전과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에 있 다. 현장조사는 동백나무림, 혼효림, 편백조림지, 해송림에서 이루어졌다. 교목층은 동백나무림과 혼효림 에서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며, 편백조림지는 편백, 해송림은 해송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의 경우 동백나무림은 동백나무, 혼효림은 좀작살나무, 편백조림지는 참식나무, 해송림은 때죽나 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동백나무림 0.121~1.589, 혼효림 0.543~1.540, 편백조 림지 0.276~1.321, 해송림 0.764~1.52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pH는 동백나무림 5.72. 혼 효림 5.26, 편백조림지 5.21, 해송림 5.32로 분석되었으며,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동백나무림 5.77, 0.48%, 혼효림 4.41, 0.30%, 편백조림지 3.28, 0.33%, 그리고 해송림이 5.32, 0.28%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a basis data for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management of Camellia japonica stand in Hakdong, Geoje Island. Field survey was conducted at C. japonica stand, mixed stand,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 and Pinus thunbergii stand. Importance value of C. japonica at tree layer was highest in C. japonica stand and mixed stand, and that of C. obtusa and P. thunbergii were highest in C. obtusa plantation and P. thunbergii stand, respectively. At subtree layer, C. japonica, Callicarpa dichotoma, Neolitses serices, and Styrax japonica ha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in C. japonica stand, mixed stand, C. obtusa plantation, and P. thunbergii stand, respectively. The species diversity ranged from 0.121 to 1.589 in C. japonica stand, 0.543 to 1.540 in mixed stand, 0.276 to 1.321 in C. obtusa plantation, and 0.764 to 1.523 in P. thunbergii stand, respectively. Soil pH was 5.72 in C. japonica stand, 5.26 in mixed stand, 5.21 in C. obtusa plantation, and 5.32 in P. thunbergii stand.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 were 5.77, 0.48% in C. japonica stand, 4.41, 0.30% in mixed stand, 3.28, 0.33% in C. obtusa plantation, and 5.32, 0.28% in P. thunbergii stand.

저자
  • 문현식(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Shik Moon Corresponding author
  • 강진택(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Jin-Taek Kang
  • 정혜란(국립수목원) | Hye-Ran Jung
  • 정재민(국립수목원) | Jae-Min Ch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