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t Assemblages in a Burned Forest in South Korea: Recovery Process and Restoration Method KCI 등재

산불이 난 산림에서의 개미군집: 회복과정과 복원방법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산불 후에 일어나는 개미군집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산불이 난 산림에서 자연적으로 식생복원이 이루어진 곳, 인위적으로 조림한 곳, 산불이 나지 않은 곳의 3개 조사지에서 2005년부터 8년간 함정트랩으로 개미를 조사하였다. 모두 24종이 채집되었고 스미스개미(Nylanderia flavipes)가 가장 풍부하였다. 산림을 선호하는 개미종(예, 일본장다리개미, 민냄새개미, 노랑잘록개미)들은 산불이 나지 않은 조사지와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되는 조사지에서 많이 발생한 반면, 개활지를 선호하는 종(예, 곰개미, 일본왕개미, 주름개미)들은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에서 많이 나타 났다. 다변량분석 결과는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이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된 곳 보다 개미군집이 산불 후에 더 많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자연 복원된 조사지에서는 개미군집이 산불이 난 5-6년후에 산불 이전으로 회복되는 데 비해, 인공복원된 조사지에서는 회복에 약 25년이 소요될 것으 로 추정되었다.

In order to identify the post-fire changes of ant assemblages after a forest fire, ants were surveyed at three survey sites (artificial reforestation site, natural reforestation site, and unburned forest site) in a burned forest area for eight years from 2005 using pitfall traps. 24 species were collected, and Nylanderia flavipes was the most abundant. Ant species preferring forest habitats (e.g. Aphaenogaster japonica. Lasius spathepus, and Plagiolepis flavescens) more occurred at the unburned forest site and the natural reforestation site, whereas ant species preferring open habitat (e.g., Formica japonica, Camponotus japonicus, and Tetramorium caespitum) more occurred at the artificial reforestation site. Ordin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ant communities of the artificial reforestation site were more changed compared with those of the natural reforestation site after the fire. The communities of the natural reforestation site were restored to the pre-fire state in five to six years after fire, whereas those of the artificial forest site seemed to take about 25 years to restore.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Acknowledgement
Literature Cited
저자
  • Tae-Sung Kwon(Division of Forest Insect Pests and Diseas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57 Hoegi-ro, Dongdaemun-gu, Seoul 02455, Republic of Korea) | 권태성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