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에 도래하는 떼까마귀 집단에 대한 분자 종 동정 및 계통 유연관계 KCI 등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rook (Corvus frugilegus) population in Jeju-do Province,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동절기에 제주도 지역에서 도래하는 떼까마귀의 유전적 특성과 집단 간 유연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서열의 다형성에 기반한 모계 계통 구조와 계통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떼까마귀 DNA는 우도와 제주도 내에서 발견된 깃털과 사체 시료에서 분리하였다. 결정된 COI 서열들(n=41)은 떼까마귀(Corvus frugilegus)에서 기존 에 보고된 서열들과 97.0% 이상 일치하였다. 제주도 떼까마귀 COI 서열들은 3가지 haplotype(J01-J03)으로 구분되었으 나 지역-특이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아, 이들이 하나의 모계 기원에서 유래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떼까마귀 전체 COI 서열에서 8개의 COI haplotype들이 발견되었다. 이 중 3가지 haplotype들은 러시아 동부, 몽골, 한국 등 동북아시 아의 COI 서열들을 포함하였고, 나머지 5가지는 중앙아시아, 중동아시아, 러시아 서부, 유럽국가의 떼까마귀에서 발견 되었다. 계통수 상에서 떼까마귀의 COI 서열들은 측소적 종분화 단계인 2아종, C. f. frugilegus와 C. f. pastinator인 2개의 모계 계통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DNA barcoding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모계 계통의 구조, 계통 유연관계 및 분자생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es and to reveal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rook populations found in Jeju-do Province in winter seasons, we determined the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I (COI) gene and analyzed the genetic structure of maternal lineage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The rook DNAs were isolated from the post-mortem specimens and plumages collected from agricultural farms in Jeju-do Province including U-do Island. The obtained COI sequences (n=41) showed over 97.0% identities with those previously reported from Corvus frugeligus. Three COI haplotypes (J01-J03) were detected from COI sequences of the rooks obtained in Jeju-do Province but those did not show the site-specific patterns, showing that they might be derived from a common maternal origin. Eight maternal haplotypes were detected from all COI sequences obtained. Among those three haplotypes contained the COI sequences from Northeast Asia including eastern Russia, Mongolia and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other five haplotypes contained the COI sequences reported from Central Asia, Middle East, western Russia and European countries. The COI sequences from Jeju-do Province were located on three haplotypes (CF01-CF03) belonging to Northeast Asian rook lineages. The NJ tree showed the distinct branch patterns suggesting two different maternal lineages of C. frugilegus, which proposed as two parapatric subspecies, C. f. frugilegus (Western) and C. f. pastinator (Eastern). These findings using DNA barcoding approaches will be contribu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avian fauna for understanding the genetic structure of maternal lineage, phylogenetic relationship and their molecular ecology.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한상현(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Sang-Hyun Han
  • 김태욱(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Tae-Wook Kim
  • 김유경(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Yoo-Kyung Kim
  • 박준호(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Jun-Ho Park
  • 김동민(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Dong-Min Kim
  • Pradeep Adhikari(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수곤(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Su-Gon Park
  • 박선미(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Seon-Mi Park
  • 김가람(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Ga-Ram Kim
  • 이준원(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Jun-Won Lee
  • 오홍식(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Hong-Shik O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