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요크셔종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Reproductive Traits in Yorkshi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3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요크셔종 모돈 분만기록 4,989복의 번식성적 자료를 근거로 요크 셔 모돈의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시 년도-계절, 산차, 교배웅돈을 교정효과로 포함하였으며, 영 구환경효과 포함여부에 따른 두 개의 혼합모형을 설정하여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효과 및 유전모수 추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크셔종의 초교배일령, 경산돈의 발정재귀일령 및 포유기간이 번식형질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 결과 경산돈의 번식형질에 있어 사산두수, 미라두수, 기타두수를 제외한 번식형질에서는 계절의 요인을 제외하 고는 년도, 산차, 발정재귀일령, 포유기간에 대해 각 요인별로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총산자수와 포유두수 사이의 표현형상관과 유전상관은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유전상관이 표현 형상관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력의 경우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 전력 및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한 유전력은 각각 총산자수에서 0.240과 0.076, 포유두수에서 0.187과 0.096으로 추정되어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한 유전력이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보다 매우 낮게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유전모수 추정시 영구환경 효과를 고려한 모델식을 적용한다면 육 종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reproductive traits using multivariate animal models in Yorkshire breed. For the study, 4,989 records for litter traits collected between the year 2001 and 2005 from Yorkshire pigs in K GGP were us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rrowing year, parity, weaning to estrus interval (WEI), and suckling perio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farrowing season was not significant, for reproductive traits. The estimates genetic correlations and phenotypic correlations in total number of born and number of suckling, was shown to highly correlated. The genetic correlations were higher than phenotypic correlation.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for reproductive traits, considering permanent environment effects (PE) were much lower than those obtained when permanent environment effects were not considered (NPE) in the model.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were 0.240 and 0.076 for total number of born and 0.187 and 0.096 for number of suckling in NPE, and P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tivcate that P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atistical mode to estimate more acco ate breeding values.

저자
  • 송광림(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Kwang-Lim Song
  • 김병우(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Byeong-Woo Kim
  • 노승희(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 Seung-Hee Roh
  • 선두원(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u-Won Sun
  • 김효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yo-Sun Kim
  • 이득환(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동물생명과학전공) | Deuk-Hwan Lee
  • 전진태(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in-Tae Jeon
  • 이정규(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Gyu Lee Corresponding au 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