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염된 해양퇴적물에서 중금속 용출 차단을 위한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제강슬래그의 적용성 평가 KCI 등재

Assesment of Zeolite, Montmorillonite, and Steel Slag for Interrupting Heavy Metals Release from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for Capping Thickness of Reactive mater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4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피복소재인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제강슬래그의 피복두께에 따른 오염된 해양퇴적물 내 중금속 용출 차단 효율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As의 용출차단에는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제강슬래그 모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제올라이트는 Cr 용출 차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몬모릴로나이트 5 cm 피복은 Cr 용출 차단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As 및 Cr과는 대 조적으로 Cd, Ni, 그리고 Pb은 미피복 퇴적물에서 조차 용출되지 않았다. Cu와 Zn은 피복 조건에 따른 영향이 가장 뚜렷한 중금속이었다. Cu 의 용출은 몬모릴로나이트 피복 두께 1 cm 이상 그리고 제올라이트 피복 두께 3 cm 이상에서 효과적으로 차단되었다. 해양퇴적물에서 Zn의 용출은 모든 피복 물질에서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올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제강슬래그를 오염된 해양퇴적물에서 Cr, Cu, Zn의 용출 차단을 위한 효과적인 피복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zeolite, montmorillonite, and steel slag as capping materials to block the release of heavy metals from marine sediment depending on their depth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capping materials used this study were not effective in interrupting release of As. Zeolite had negative effect on the block of Cr release but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5 cm by montmorillonite capping. In contrast to As and Cr, Cd, Ni, and Pb were not released even from uncapped sediments. Cu and Zn were the heavy metals those wer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apping conditions. Cu release from marine sediments were effectively blocked by more than 1 cm depth of montmorillonite and more than 3 cm depth of zeolite. All capping material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nterrupting release of Zn from marine sediments. It was concluded that the zeolite, montmorillonite, and steel slag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capping material for interrupting the release of Cr, Cu, and Zn from the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목차
1. 서 론
2.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3. 실험결과 및 고찰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저자
  • 강구(한경대학교 미래융합기술대학원) | Ku Kang
  • 김영기(한경대학교 화학공학과) | Young-Kee Kim
  • 박성직(한경대학교 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 | Seong-Jik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