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대한 대중인식도 연구 -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필리핀 기마라스주의 사례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5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우리나라와 필리핀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해양생태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하여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태자원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의 수는 늘어난 반면, 대부분의 해양보호구역들이 원래의 설정목적 에 맞게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지역주민이나 수산업자들은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으 로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찬성과 반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래전부터 수산자원의 관리와 보존 및 보호를 위해 제정된 1998년 필리핀 수산업법에 의하여 지방정부 하여금 관할해역의 15% 이상을 수산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해 오고 있는 필리핀 기마라스주 해양보호구역 설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 연구 지역인 기마라스주 두 시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수산자원을 위한 해양서식지의 보호와 보존을 위해 필요한 해양보호구역 설정 논쟁에 대한 인식조사와 지불의사금액(WTP)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새로이 설정될 해양보 호구역 내에서의 어로행위 제한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손실 때문에, 과반수 이상인 응답자의 58.7%는 손실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지만, 수산자원의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으로 해양보호구역의 증대필요성에 대해서는 91.4%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 로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하여 기마라스주 산로렌조시와 시부낙시 전체 지역주민들이 부여하는 해양보호구역(375.5ha)에 대한 평균 가치는 $1,046,791달러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and the Philippines, as well as all over the worl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arine ecological resources, the marine protected areas(MPA)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to protect and preserve these resources. While the number of marine protected areas for marine ecological resources protection has been increased, there is main problem that the most of MPAs do not achieve their intended management objectives. the effective management. Becaus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local communities and fishermen as direct stockholders, there has been ongoing debate on the pros and cons of implementing MPAs. Accordingly, this research conducted a case study of establishing Marine Protected Areas in Guimaras, Philippines because Philippines fisheries code of 1998 (Republic Act 8550), which is enacted to manage, conserve and protect fishery resources, obliged local governments to designate no less than 15% of jurisdictional municipal water as fisheries resource protection areas for a long time. To do this, a dichotomous-choice contingent-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in the two municipalities of Guimaras, Philippines to investigate public opinion in debates over MPAs and to estimate willingness to pay (WTP) for MPAs to protect and conserve marine habitats for fishery resources. Because of the expected economic costs by prohibiting fishing activities within the establishing newMPA, 58.7% of respondents thought the costs should be compensated, but 91.4% respondents voted in favor of increasing MPAs for fisheries resources as a protective measure. Finally, with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the aggregate mean WTP (375.5ha) of San Lorenzo and Sibunag residents in Guimaras Province, Philippines for establishing the additional MPA in their municipality waters was estimated to $1,046,791. Therefore,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valuable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MPAs in Korea.

목차
1. 서론
2. 필리핀 해양보호구역의 현황 및 문제점
3. 기마라스주 해양보호구역 관리현황 및 문제점
4.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주민인식조사
5. 요약 및 결론
후 기
References
저자
  • 김태균(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부교수) | Tae-Go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