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파트 베란다 층별 기상환경 측정과 이에 따른 모의 광도가 오색마삭줄과 피토니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nvironment in Apartment Verandas at Three Floors, and Change in Growth of Selected Ornamental Plants under Simulated Light Intens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6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베란다의 층별 온습도와 광도를 파악하고 층별로 재배하기에 적합한 식물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실제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 베란다 3개동 3개층 (2, 9, 그리고 16층)의 베란다 환경 (온습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에 30일 동안 조사하고, 가장 온도가 높았던 여름의 베란다 환경 (온습도와 광도)을 2008년 8월 19일부터 9월 14일까지 24시간 동안 조사한 후 외부와 비교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의 광도에 따른 오색마삭줄과 피토니아의 생육변화를 식물생장상에서 관찰하였다. 광도를 24시간 동안 아파트 베란다의 층수별 조사한 결과 2, 9, 그리고 16층에서 베란다 내부의 일일 평균 광도는 각각 약 40, 70, 그 리고 100 μmol·m-2·s-1로 층수가 높아질수록 높아졌다. 식물생장상 연구에서, 모의 광도 (40, 70, 100, 그리고 600 μmol·m-2·s-1)에 따른 오색마삭줄과 피토니아의 생육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엽색의 변화 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관상가치를 고려해 볼 때 오색마삭줄은 광도가 높은 층에서 재배하고, 피토니 아는 광도가 낮은 층에서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식물의 미적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roject was conducted to measure actual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RH), and light intensity at different apartment floors and to suggest suitable indoor plants by investigating morphological changes of Treophelosparmum asiatioum and Fittonia verchaffeltii var. argyroneura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RH in apartment verandas were measured in three different (2nd, 9th, and 16th) floors on three different buildings for 30 days seasonally. The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RH were recorded outside (parking area) and inside apartment verandas for 24 hours on a selected sunny summer day (between Aug. 19 and Sept. 14, 2008). Based on the first study, we investigated effect of simulated light intensity (40, 70, 100, and 600 μmol·m-2·s-1) on changes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T. asiatioum and F. verchaffeltii var. argyroneurain growth chambers. However, daily mean light intensity of 2nd, 9th, and 16th floors was different each other as it was about 40, 70, and 100 μmol·m-2·s-1, respectively. In the growth chamber experiment, plant height, internode length, and leaf length and width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light intensity, but changes in leaf color were apparent in the new leaves with the increasing light intens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 asiatioum could be best fit to high, and F. verchaffeltii var. argyroneura to lower floor verandas, considering their aesthetic values.

저자
  • 손문숙(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 Program) 원예학과) | Moon-Sook Son
  • 송주연(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 Program) 원예학과) | Ju-Yeon Song
  • 정병룡(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BK21 Program) 원예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경상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 Byoung-Ryong Je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