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개병풍 자생지의 환경특성 KCI 등재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Habit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89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자생지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생지 고도는 해발 432-1,413 m까지 다양하게 위치하 였으며, 경사도는 16-49.5°로 비교적 급한 경사지에 자라는 것 으로 확인되었고, 주로 북사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 병풍 자생지의 식생분석 결과 12개 방형구에서 조사된 관속식 물은 246분류군이었으며, 개병풍이 주로 분포한 초본층의 중요 치는 개병풍이 20.4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관중(4.56%), 도깨비부채(3.72%), 노루오줌(2.81%), 대사초(2.67%), 단풍취 (2.65%), 벌깨덩굴(2.46%)의 순으로 나타나 이러한 종류들이 개병풍과 유사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1.23,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11과 0.86으로 산출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낙엽층의 두께는 2-10 ㎝이었으며, 토심 은 20.8-67.5 ㎝로 나타났다. 토성은 사질토, 미사질토, 양토 등이었으며, pH는 5.63-7.74, 유기물함량은 8.88-42.55%, 그 리고 질소함량은 1.40-6.58 ㎎/g으로 나타났다.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stilboides tabularis were investigated to compil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Natural habitats, according to investigations, were mostly located on the slopes of mountains facing north at an altitude of 432 m to 1,413 m above sea level with angles of inclination ranging from 16 degree to 49.5 degree. A total of 246 vascular plant taxa were identified from 12 quadrats in 11 habitats. The importance value of Astilboides tabularis is 20.40%, and 6 highly ranked species such as Dryopteris crassirhizoma (4.56%), Rodgersia podophylla (3.72%), Astilbe rubra (2.81%), Carex siderosticta (2.67%), Ainsliaea acerifolia (2.65%), and Meehania urticifolia (2.46%) are considered to be an affinity with Astilboides tabularis in their habitats. Average species diversity was 1.23, dominance and evenness were found to be 0.11 and 0.86, respectively. The litter depth above the soil surface was 2 to 10 ㎝, and soil depth was 20.8 to 67.5 ㎝. The soil texture of habitats were divided three types such as loam, silt loam, and sandy loam. The soil pH was 5.63 to 7.74, and the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s were ranged from 8.88 to 42.55%, and 1.40 to 6.58 ㎎/g, respectively.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윤연순(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Yeon Sun Yoon
  • 김경아(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Kyung-Ah Kim
  • 유기억(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Ki-Oug Y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