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SR 마커를 이용한 아시아 지역에서 수집된 벼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구조 분석 KCI 등재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Rice Accessions Collected from South and Southeast Asia Using SSR Marker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1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자원보존과 유전자원의 작물육종 활용 성 제고를 위한 기초정보제공을 목적으로, 29개 SSR marker 를 이용하여 아시아지역의 10개 국가에서 수집된 벼 유전자원 에 대해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1. 총 85점의 벼 유전자원이 수집되었으며, 29개 SSR 마커 에 의해 증폭된 allele 수는 총 342개 였다. Allele 수는 2 개에서 28개 범위로 나타났으며, 마커당 평균 allele 수는 11.8 개 였다.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 genetic diversity와 PIC 값의 범위는 각각 0.12-0.93과 0.11-0.93으로 나타났고, 평균은 각각 0.73과 0.71로 나타났다. 2. 국가별 벼 자원의 유전적 거리를 기초로 유연관계를 분 석한 결과 2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BⅠ 그룹에는 남아시아 지역에 속하는 스리랑카,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이 포함 되었고, BII 그룹에는 라오스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지역인 미 얀마, 부탄, 베트남, 필리핀, 태국이 포함되었다. 3. 수집 국가별 마커당 평균 allele 수는 미얀마가 1.28개로 가장 낮았고, 필리핀이 7.03개로 가장 높았으며, PIC 값 역시 필리핀이 0.64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미얀마는 가장 낮은 0.15로 관찰됐다. 4. 유전적 거리와 Structure ver2.2를 이용하여 집단의 구조 를 분석한 결과, 75%의 확률에서 85개 자원 중 80개 자원 (64.1%)는 3개의 subpopulation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5개 자원(5.9%)은 유전적으로 혼입된 형태를 나타냈다. 5. 각각의 subpopulation은 수집 국가의 특성과 일치하지 않 았으며, 대부분 자원은 각각의 subpopulation에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었다.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85 rice accessions collected from 10 South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were studied based on 29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SSRs). In total, 342 alleles were identified; th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ranged from 2 to 28, with a mean value of 11.8 alleles.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ranged from 0.11 to 0.93, with an average of 0.71, revealing an excess of heterozygous individuals at 29 SSR markers and an excess of homozygous individuals at two SSR markers. The means of expected heterozygosity (HE) and genetic diversity were both 0.73, ranging from 0.12 to 0.93 and 0.11 to 0.94,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 modelbased structure analysis, three distinct groups consistent with clustering results based on genetic distance were identified. This study explored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domesticated rice collected from South and Southeast Asia. This collection can be used for future germplasm conservation and crossbreeding programs.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적 요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
  • Min-Young Yoon(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윤민영
  • Yong-Jin Park(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공주대학교 두과녹비자원 연구센터) | 박용진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