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南冥集󰡕 初刊年代 辨正 KCI 등재

Demonstration about the first edition of the Nam-myeong Collection

󰡔남명집󰡕 초간연대 변정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남명학연구󰡕 29집 소재 「󰡔南冥集󰡕 諸板本의 刊行年代」라는 오이 환의 논문에 대한 반박 논문이다.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명집󰡕 기유본 문경호 발문의 ‘임인(1602) 년간’은 문집의 편집 작업 이 진행된 시점을 언급한 것이고, 초간된 것은 서문이 찬술된 갑진(1604)년이 며, 장판각에 불이 난 뒤 순찰사 유영순의 후원에 의해 병오(1606)년 무렵에 1 차 중간이 있었고, 다시 이를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보유를 추가하여 간행한 것 이 기유(1609)본이다. 둘째, ‘年間’, 즉 ‘즈음’이란 용어가 간행연대를 적시한 용어로 보기에는 분명 하지 않고 너무나 느슨하다. 간행한 것은 분명한 것이고, 문집 편찬을 의논한 것은 오늘날처럼 간행위원회를 만든 것이라기보다는, 1600년의 󰡔퇴계집󰡕 간행 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 시기가 불분명하였던 것이다. 셋째, 갑진년 8월에 정인홍이 찬술한 서문이, 문경호가 발문을 실은 그 책에 같이 실려 있다는 것은 문집의 초간이 갑진년에 있었다는 것을 가장 웅변적으 로 말해주는 것이다. 넷째, 초간본의 장판각이 불타고 유영순에 의해 중간이 되었다면 이는 유영순 의 관찰사 재임 기간[1605년 9월-1607년 3월]과 관련시키면 병오(1606)년 무렵이라 해야지, 오이환처럼 갑진(1604)년으로 볼 수는 없다. 다섯째, 오이환이 󰡔고대일록󰡕의 신축(1601)년과 임인(1602)년 등에 보이는 ‘看役’이 문집 간행의 일이라고 해석할 근거가 없다. 더구나 계묘(1603)년 겨울 에 李堉이 鄭逑의 심부름으로 󰡔남명집󰡕의 편집 작업을 주도하던 鄭仁弘에게 특 정한 글을 제외하기를 요구하였는데, 정인홍이 “선생의 문자라면 片言隻字라도 가볍게 취하거나 뺄 수 없다.”며 거절하였으니, 이는 1603년 겨울 이전까지 문 집의 편집 작업이 계속되고 있었다는 근거 자료가 된다. 여섯째, 이상 네 가지 이유로 임인(1602)년에 󰡔남명집󰡕이 초간되었다고 주장 한 오이환의 설이 설득력을 잃게 된다. 일곱째, 이에 오이환은 유영순에 관한 문경호의 기록이 신빙성이 없다며, 하 징의 「덕천서원기」와 배대유의 「신산서원기」에서의 관찰사 기록 착각의 예를 들었다. 그러나 이는 논리가 닿지 않는다. 하징과 배대유가 설사 관찰사에 대하 여 착각했다 해도, 그것이 문경호의 착각에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증명할 길이 없다. 그러나 필자는 그것조차 오이환이 사실이 아닌 주장을 한 것으로 논증하 였다. 여덟째, 우선 하징의 「덕천서원중건기」에서 윤근수가 관찰사로서 재임 기간 [1574년 10월-1575년 10월] 중에 덕천서원의 창건을 지원하였다는 것을 오 이환은 하징이 착각하여 잘못 기록한 것이라 생각하고 있지만, 재임 중에 그가 지원한 뒤 1576년 봄부터 일을 시작했다고 보면 하징의 기록에 전연 무리가 없 음을 알 수 있다. 아홉째, 배대유의 「신산서원기」는 󰡔모정집󰡕 기록을 보면 ‘방백읍재’ 밑에 윤 근수와 하진보가 각각 세주로 처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세주를 후인이 추기한 것으로 보지 않으려는 것은, 오이환이 배대유가 착각했다고 보기 위함 에 다름 아니다. 배대유는 당시의 관찰사 김수와 김해부사 양사준의 인품을 문 제삼아 그들의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의도에서 애초에 ‘방백읍재’라고만 하고, ‘金方伯睟梁知府思俊’이라 표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tends to refute the suggestions made by I-hwan Oh in his paper entitled "The timing of the publication of various editions of the Nam-myeong Collection," which is put in the 29th collection of "A research into the Nam-myeong study" published on June 30, 2010. The following are this research's summary. First, the phrase ‘published in 1602’ in the epilogue written by Gyeong-ho Mun of the 1609 edition of the Nam-myeong Collection tells the timing when the compilation of the collection was started.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1604 when the prologue was composed. The first reprinting was done around 1606 with supports from Royal Envoy Yeong-sun Yu after the national library was burned down. The reprinted edition was partially corrected and complemented and then issued again in 1609. Second, ‘in that year’ or ‘at that time’ is too unclear and loose to pinpoint the timing of the publication. That the publication was made is very clear, but the timing is not clear since publishing the collection was not discussed by the appropriate publishing committee, as in these days, but the publishing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ssuance of the Toe-gye Collection in 1600. Third, that the first collection was published in 1604 is most definitely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prologue was composed by In-hong Jeong in August 1604 and the epilogue written by Gyeong-ho Mun are in the same book. Fourth, if the first edition was burned down along with the national library and it was reprinted by Yeong-sun Yu, the timing for its reprinting should not be in 1604 as I-hwan Oh contends, but around 1606 considering the tenure of Governor Yeong-sun Yu (from September 1605 to March 1607). Fifth, there is no ground for I-hwan Oh to interpret that the word ‘supervision’ attested in the 1601 edition and the 1602 edition of the Ancient Daily Records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in question. Moreover, it is crystal clear that the collection was being compiled in winter 1603 when, at Gu Jeong's request, Yuk Yi asked In-hong Jeong, who was leading the compiling, to remove specific phrases from the collection and then Jeong refused it by saying, “One jot or one tittle shall be in no wise removed from the book.” Sixth,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our reasons, the contention of I-hwan Oh that the Nam-myeong Collection was first published in 1602 is groundless. Seventh, I-hwan Oh says that Gyeong-ho Mun's records about Yeong-sun Yu are not reliable since the records are mistaken about the governor in the Deok-cheon Private School Records written by Jing Ha and in the Sin-san Private School Records written by Dae-yu Bae. But this saying is contrary to logic. Even though Jing Ha and Dae-yu Bae were deluded about the governor, there is no way to prove how the delusion affected the mistakes of Gyeong-ho Mun. Yet, the present author has already demonstrated that the contention of I-hwan Oh is not true as well. Eighth, according the Records about the Reconstruction of Deok-cheon Private School written by Jing Ha, during his tenure (between October 1574 and October 1575), Governor Geun-su Yun supported the foundation of Deok-cheon Private School. And I-hwan Oh asserts these records are wrong and mistaken. Nevertheless, the records should not be considered wrong when it is understood that Geun-su Yun supported the foundation during his tenure and then the construction as begun in spring 1576. Ninth, according to the Mo-jeong Collection, Geun-su Yun and Jin-bo Ha are each considered as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Sin-san Private School Records written by Dae-yu Bae. I-hwan Oh will not accept that the word 'government official' was not added by someone in later times, just because he wants to interpret that Dae-yu Bae made a mistake. It seems that Dae-yu Bae did not clearly declare the names of Provincial Governor Su Kim and Kimhae County Governor Sa-jun Yang but vaguely mentioned them just as government officials, since Bae was not favorably inclined to their bad character.

목차
Ⅰ. 머리말
Ⅱ. 논의의 경과와 논쟁의 개요
Ⅲ. 쟁점 내 논의
Ⅳ. 쟁점 외 논의
Ⅴ. 맺음말
저자
  • 李相弼(경상대학교 한문학과) | 이상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