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KCI 등재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focused on Li-supervisor

기정진과 전우의 성리학적 쟁점과 정재규의 성리설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鄭載圭는 奇正鎭의 학문을 영남에 전한 학자이다. 기정진의 문집 간행과 추모 문자를 제작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그는 스승에 대한 비난에 대응하 는 일에도 앞장섰다. 그는 스승의 학설에 田愚의 비판이 있자 師說을 변호하면 서 자신의 성리학을 체계화한다. 지향해야 할 가치의 폭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主理의 논리로 그 가치를 정당화하는 것이 그가 스승에게서 물려받은 성리학이 었는데, 理의 主宰·인물성동이론·本心論 등을 통해 주리의 논리를 전개한다. 정 재규의 성리학을 규명하는 본 연구는 그의 학설의 모태가 된 기정진의 성리학, 기정진의 학설에 체계적인 비판을 가한 전우의 성리 이론을 먼저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정재규 성리학의 역할과 성격을 이해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기정진 과 정재규의 주리론과 전우의 주기론이 갖는 학술적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그 결과 정재규의 성리학은 한말 주리론의 삼대가인 기정진, 李恒老, 李震相의 학 문과 정신적으로 상통하는 것이었고, 또한 율곡학파가 전통적으로 유지해왔던 주기론의 장점을 버리지 않고 주리의 학문과 결합시킨 학문이었다.

Jeong Jae Gyu was a remarkable Neo-Confucianist who introduced Ki Jeong Jin's theory into the We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He leaded the publication work of his master's anthology and he was at the head of counteraction against Jeon Woo who criticized Ki Jung Jin's distinctive theory. In the process of explanation, he developed his own theory. He intended to establish Ju Li philosophy that put restrictions on the maximum permissible range of values. And he tried to justify that values by theory of Ju Li empathizing Li(理)-supervisor. He applied this idea to the theory of Li movement, the theory on whether the nature of human and the nature of things are the same or not(人物性同異論), and the theory of the innate consci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characters of Jeong Jae Gyu's Neo-Confucianism. Thereupon first of all, I analyzed Ki Jeong Jin's theory that was a starting point of Jeong Jae Gyu's, and Jeon Woo's writing that was the most important critique aganst Ki Jeong Jin. The next, I investigated Jeong Jae Gyu's Neo-Confucianism, in this place I concentrated my discussion on the thought of Li(理)-supervisor. The last, I wanted to search for the meanings of their philosophy. Consequently,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possessed a theory, that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Ki Jeong Jin moreover Yi Hang Ro and Yi Jin Sang in the spirit of the Li(理)-supervisor. He did not throw away a strong point of Ju Ki theory. Instead of contempt, he aimed at combination of two tendencies that predominated in the 19th Chosun academic world.

목차
Ⅰ. 머리말
Ⅱ.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
1. 奇正鎭의 主理 性理學으로의 轉向
2. 田愚의 기정진 비판
3. 기정진과 전우의 논리 비교
Ⅲ. 鄭載圭의 성리학
1. 源頭處에서 보는 理의 주재
2. 全五常과 偏五常
3. 本心을 중심으로 해석한 心合理氣說
Ⅳ. 맺음말
저자
  • 金洛眞(진주교육대학교 교수,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김낙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