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 鄭載圭의 役割 KCI 등재

The Rise of Nohsa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Region and Nohsa's Disciple Jeong Jae Gyu's Role

영남지역 노사학파의 성장과 문인 정재규의 역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노사학파가 19세기 후반 영남 서부지역에서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과 성장과정, 그리고 문인 정재규의 역할을 분석한 것이다. 노사 기정진은 1840년 대부터 서학을 배척하고 의리와 도덕의 확산을 꾀하였던 산림학자로서 중앙정 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1850년대에는 영남의 노론학자들로부터 동방 도학의 정통을 계승한 인물로 받들어질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뿐만 아니라 기정진의 일족이나 문인들도 세도정치기와 대원군 집권기에 점차 중앙정계와 향촌사회 에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19세기 이래 영남 서부지역에서 당색의 대립이 약화되고 다른 당파나 지역 간의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주리론과 위정척사사상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가 형성될 수 있었다. 당시 영남 서부의 노사학파는 남인 출신도 있었었지만 대체로 노론 위주의 인 물들이었으며, 새롭게 성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학문을 통해 가문을 일으키려 는 인물이 많았다. 이들은 향촌질서를 바로잡기 위하여 지방관과 협조하여 향 약 실시나 󰡔소학󰡕 교육을 중시하였으며, 강학활동에 힘써 영남 서부 지역에 많 은 문인들을 배출하였다. 또한 이들은 정여창과 조식을 숭앙하는 기풍이 강한 이곳에서 이들을 모신 서원이나 사우의 향례에 참여하거나 강회를 자주 개최하 여 진주와 하동․산청․합천․의령 일대의 영남지역에 노사학파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계속 넓혀 나갔다. 이러한 영남지역에서의 노사학파의 성장은 특히 정재규의 노력에 힘입은 바 가 컸다. 정재규는 기정진 사후 적극적으로 강학 활동을 전개하여 영남지역 내 에서 가장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는데, 동문이나 문인들과 자주 강회를 열어 성 리학과 예학을 강론함으로서 기정진의 주리론이 널리 보급되고 위정척사의 주 지가 훼손되지 않게 하였다. 그는 또한 기정진의 학설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 󰡔답문류편(答問類 編)󰡕을 편찬하였으며, 1901년 기정진의 문집을 목판본으로 중간했을 때에도 단 성의 신안정사에서 직접 일을 주관하였다. 그리고 문집 간행 이후 기정진의 논 설인 「외필(猥筆)」이나 「납량사의(納凉私議)」등에 대해 영남지역의 노론이나 송병선, 송병순, 전우 등이 이단으로 배격하였을 때, 정재규는 동문과 문인들에 게 기정진의 학설을 변호하게 하였으며, 본인도 직접 논서를 지어 기정진의 주 리론이 결코 주희나 이이의 학설과 어긋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였다. 또한 정재규는 영남지역에서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을 일으켜 기정진의 위 정척사사상을 계승하였다. 그는 1881년 신사척사운동에 가담하고 1895년에 서부 영남의 유림들과 함께 의병운동을 전개하여 개화에 반대하고 일제의 침략 에 항거하였다. 이어 그는 1905년 일제의 국권침탈로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민 심의 결집을 주장하고 의병운동을 일으키고자 하였다.그는 자신을 따르는 문인 들과 함께 1905년 12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충청도의 최익현과 전라도의 기우 만과 함께 각지에 포고문을 보내고, 의병을 모으기 위해 문인들을 유생들에게 파견하였다. 비록 무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의병이 제대로 모이지 않은 상태 에서 실패하였지만 의리를 중시하는 영남지역 노사학파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circumstances to which Nohsa scholars' faction was able to form and develop in the western part of Youngnam province in the late 19th century while conducting close analysis of the pivotal role Jeong Jae Gyu(鄭載圭) played within the larger picture. Since the 1840s rustic literati Gi Jeong Jin(奇正鎭) began to catch the attention of the political circles of the time with his rejection of Western learning while insisting on spreading righteousness and moral principles. By the 1850s he was widely heralded as the legitimate heir to the orthodox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by the Youngnam Nohron scholars. Furthermore, Gi's kinsmen and disciples began to distinguish themselves among political circles of the central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s during the reign of Taewongun and the "In-law government" period. From the 19th century on, disputes between political parties started to die down considerably making exchange between rival factions and regions possible. These conditions provided a fertile ground for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Ju-Ri philosopy and "Wi-Jeong-Cheok-Sa (衛正斥邪)“,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doctrine to take shape. At that time, although there were some from the Namin camp, those who had Nohron influences formed the majority of the Nohsa scholars' faction. Particularly, those who had aspirations to restore honor to their family name by way of academic legacy fueled by the newly acquired economic wealth were on the rise. To establish order in the provincial districts Nohsa adherents would implement "Hyang-Yak(鄕約)" by working closely with local officials. Highly regarded were the learnings of "Sohak" that these scholars tirelessly devoted themselves to spreading the word bringing up many disciples in the western Youngnam area. Taking into account that Youngnam has traditionally been a regional stronghold of Jeong Yeo Chang and Jo Sik devotees, Nohsas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and participate in memorial services in shrines and seowons(private academies) dedicated to these idolized scholars of the past. Consequently, these efforts helped to widen Nohsa faction's influences over Jinju, Hadong, Sanchung, Hapcheon and Euiryeong area. Jeong Jae Gyu's role in the rise of Nohsa faction in Youngnam region is undenialble. After Gi Jeong Jin's death, Jeong's aggressive propagation won him the largest number of disciples in all of Youngnam. By holding regular lectures with his colleagues and disciples stressing Neo-Confucianism and the "Yehak"(study of rituals) he would make sure that Gi Jeong Jin's Ju-Ri philosophy and "Wi-Jung-Cheok-Sa" doctrine passed on untarnished. Jeong Jae Gyu would later publish "Dap-Mun-Ryu_Pyeon(答問類編)“ in order to teach Gi Jeong Jin's theory in a more systematized way. In 1901, when Gi Jeong Jin's collection of works were being reprinted in a woodcut edition, he would personally supervise the entire process. Later when Gi Jeong Jin's rhetorical writings such as 「Oe-Pil(猥筆)」 and 「Nap-Ryang-Sa-Eui(納凉私議)」 were being denounced as heresy, by the likes of Song Byung Seon, Song Byung Sun, Jeon Woo and the Nohron faction of Youngnam region, it was Jeong Jae Gyu who would rally his colleagues and disciples to defend Gi's theories. And Jeong himself would, through his own writings, stress that Gi Jeong Jin's Ju-Ri philosophy was not in any way a contradiction to Ju Hui or Lee Yi's theories. Jeong Jae Gyu would further advance Gi Jeong Jin's "Wi-Jung- Cheok-Sa" doctrine by organizing volunteer's army movement in the Yeongnam region. In 1881 he took part in the "Shin-Sa-Cheok-Sa" movement. And in 1895, together with Confucian scholars in western Youngnam, he would launch the volunteers' army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and the Western influences. In 1905, when the very existence of his nation was in great peril, due to Japanese attempt at violating the national sovereignty, he contended that public sentiment should be unified. With his disciples in tow he called upon Choi Ik Hyeon of in Chungcheong province and Gi Woo Man of in Jeolla province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through January in 1905. By combining forces, they would lay the groundwork for the volunteer's army movement. A declaration was sent to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disciples were dispatched to gather more volunteer fighters. Although, ultimately, volunteer army movement turned out to be a total failure, owing to lack of enlistees and military support, it was not without merit. The campaign had contributed in raising the reputation of the Youngnam Nohsa faction which valued unswerving loyalty above all else.

목차
Ⅰ. 머리말
Ⅱ. 영남지역 노사학파의 형성배경
Ⅲ. 영남지역 노사학파의 성장과정
Ⅳ. 문인 정재규의 역할
1. 강학활동
2. 문집 간행
3. 학설논쟁
4. 의병운동
Ⅴ. 맺음말
저자
  • 김봉곤(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Kim, Bong-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