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숙종대 󰡔聖學輯要󰡕 進講의 경위와 의미 - 숙종 정국 운영방식의 일단면 - KCI 등재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Inclusion of the Seonghkak Jibyo/聖學輯要 in the Royal Study Sessions's Curriculum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숙종대 󰡔성학집요󰡕 진강의 경위와 의미 - 숙종 정국 운영방식의 일단면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이의 대표적인 저술인 󰡔聖學輯要󰡕는 일각에서 帝王이 학문하는 교범으로 높이 평가되었으나 그가 초년에 出家했다는 혐의로 인해 정계의 관심 대상이 되지는 못하였다. 󰡔성학집요󰡕는 庚申換局에 이어 숙종 7년에 이이의 문묘 종사 가 실현된 것을 계기로 吳道一과 朴世采 등은 이이의 학문을 선양하며 󰡔성학집 요󰡕의 진강을 적극적으로 건의하였으나 서인 집권 당시라는 상황을 감안하면 정계 일반의 논의는 활발한 편은 아니었으며, 진강 또한 실현을 보지 못하였다. 이이는 己巳換局으로 그에 비판적인 남인이 집권한 뒤 문묘에서 黜享되었으 나 甲戌換局으로 서인이 재집권한 뒤 復享되었다. 당시 숙종은 유생들의 상소 나 대신들의 논의를 거치지 않고 특명으로 복향을 결정하였다. 이는 자신의 처 분을 거듭 뒤집는 데 따르는 명분적 부담을 피하는 한편 公論이 당론에 따라 움 직이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한 국왕의 정책 주도권을 천명한 것이었다. 이와 함께 이이의 학문적 성과를 국가적으로 공인하여 이이의 위상을 처음 종 향보다 한 차원 높임으로써 從祀의 당위를 확증하기 위하는 조치가 수반되었는 데, 그 산물이 바로 󰡔聖學輯要󰡕의 進講이었다. 기사환국 이후 󰡔성학집요󰡕의 가 치를 주장하며 이이의 복향을 청하다 옥사한 延最績이 갑술환국 후 복권된 것 은 󰡔성학집요󰡕에 주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성학집요󰡕는 숙종 23년부터 27년까지 진강되었는데, 이 작업은 宣祖에 대 한 繼述로 평가되었으며, 숙종은 이이의 학설을 聖賢의 謨訓으로 평가하여 그 의 위상을 확증하였다. 한편 현전하는 󰡔성학집요󰡕 중 숙종 22년 9월에 進善 權 尙夏와 侍講院에 내린 內賜記가 적힌 것이 있다. 이것은 숙종 자신이 󰡔성학집 요󰡕 진강을 통해 경연관들과 군신의 관계를 확인하고 있다면, 시강원 관원들에 게 󰡔성학집요󰡕를 내려줌으로써 어린 세자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표상하고자 한 것이었다.

<Seonghak Jibyo/聖學輯要> is one of the most famous writings of Yulgok Lee Ih/栗谷 李珥. By some people, <Seonghkak Jibyo> has been held in high regard as a manual vital to the Kings' and Lords'('帝 王') studying. But the presumed fact that Lee Ih left his home('出家') in the early years of his life prevented others especially in the political arena from being interested in the text. After the political shift that occurred in the Gyeongshin year('庚申換局'), and when the tablet of Lee Ih was decided to be enshrined at the National Literary Shrine('文 廟從祀') in the 7th year of King Sukjong/肅宗's reign, people started to discuss including <Seonghak Jibyo> in the curriculum for the royal study sessions in the presence of the King(進講). But the discussions did not go far, and the suggestion was dropped. After the political shift of the Gisa year('己巳換局'), when the Namin party members retook control of the government, Lee Ih's tablet was removed(黜享) from the National Literary Shrine, but when the Seoin party members returned to the government through the political shift of the Gabsul year('甲戌換局'), Lee Ih's tablet was enshrined at the Shrine again(復享), by special order of King Sukjong. This time the government nationally recognized Lee Ih's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result was the inclusion of the <Seonghkak Jibyo> in the royal study sessions's curriculum. This led to the efforts of honoring(‘繼述’) King Seonjo/宣祖. King Sukjong considered Lee Ih's teachings to be the teachings of the wise saints(聖賢), and intended to secure its status in governmental recognition. The version of <Seonghak Jibyo> that remains today shows the royal document for donation('內賜記') bestowed to Gweon Sang Ha/權 尙夏 and the Shigang-weon/侍講院 office in September of the 22nd year of King Sukjong's reign inside. King Sukjong himself was trying to re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vassals through studying <Seonghak Jibyo> at the royal Jingang sessions, and he was trying to establish a same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rown-prince and the officials at the Shigang-weon office as well.

목차
I. 머리말
II. 󰡔聖學輯要󰡕에 대한 인식과 進講 논의
1. 인조-현종대 󰡔聖學輯要󰡕에 대한 인식
2. 숙종 초반의 󰡔聖學輯要󰡕 進講 논의
III. 󰡔聖學輯要󰡕 進講 실행의 배경과 의미
1. 換局과 李珥의 文廟 從祀
2. 󰡔聖學輯要󰡕 진강의 정치적 의미
IV. 맺음말
저자
  • 尹晶(경상대 인문학부) | 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