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san Heoyu's Nammyeong study's inheritance and meaning - Focused on Sinmyeongsadomyeong-hokmun’s formation -
후산허유의 남명학계승과 그 의의 - 신명사도명혹문의 성립을 중심으로 -
后山許愈(1833-1904)가 살았던 조선말기는 李震相․朴致馥․趙性家․金麟 燮․崔琡民․鄭載圭․金鎭祜․郭鍾錫등이 진주 인근에 포진하여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학문적 장관을 이루고 있었다. 후산은 李滉․金誠一․李玄逸․李 象靖․柳致明의 학맥을 이은 李震相의 문인이므로 외견상 퇴계학맥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의 10대조는 南冥曺植(1501-1572)의 門人이고 9대조와 8 대조는 모두 남명 私淑人이어서, 후산은 태어나면서부터 남명학파의 학문적 전통 을 이미 이어받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겉으로 남명학파는 사라지고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학문이 강우 지역에 깊이 젖어든 이때, 후산이 남긴 神明舍圖銘或問이란 글을 중심으로, 남명학파의 후 예로서 그가 추구하였던 남명학 계승 정신과 그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후산이 1889년에 신명사도명혹문 이란 글을 지은 것은 남명 학문의 핵심을 闡 發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자신이 비록 이진상의 문인으로 서 퇴계학맥에 해당하면서도, 자신의 선조가 대대로 남명학파였기 때문에 자신이 당대의 남명학파 중진 학자들의 견해를 집대성하여 이 글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후산은 이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광범위하게 수집하 려 노력하였고, 이를 수용하거나 수정하거나 받아들이지 않거나 간에 이를 오직 논리에 따라 해결하려 하였다. 특히 쟁점이 되었던 부분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 될 수 있다. 첫째는 神明舍銘註說의 刪削문제이다. 둘째는 神明舍圖교정 문제이다. 셋째는 신명사명 ‘動微勇克' 아래에 있는 自註‘閑邪'의 해석 문제이다. 넷째는 신명사도 의 ‘國君死社稷'의 의미 해석 문제이다. 다섯째는 신명사도 하단 止圈좌우의 ‘必至․不遷'의 위치 문제이다. 이러한 작업들은 학자들 사이에 첨예하게 대립되는 견해가 있기도 하여 매우 번 다하고 수용하기 어려운 일이었음에도 후산은 발표한 지 1년이 지난 1890년 무렵 에 이를 거의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후산은 남명의 노장적 면모보다 는 성리학적 면모를 드러내려 하였고, 이는 자신이 퇴계학맥을 이은 학자이면서 남명학파이기도 하다는 데서 학문적 절충을 시도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 후산의 이러한 노력이 가져다 준 부수적 효과는 남인 학자들과 노론 학자들 사이에 남명 학파적 유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1930년대 단성 지역에서 진행 되었던 남인과 노론 학자들 사이의 年例討論모임이 이루어진 것과 무관하지 않 기 때문이다.
Husan Heoyu(1833-1904) lived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There were a lot of scholars Yi Jin-sang, Park Chi-bok, Jo Sung- ka, Kim In-sup, Choi Sook-min, Jung Jae-kyu, Kim Jin-ho, Gwak Jong-suk, who lived around Jin-ju. They had a great influence on each other and their studies. Husan was Yi Jin-sang's disciple who followed Yi Hwang, Kim Sung-il, Yi Hyun-il, Yi Sang-jung. So Husan was classified as being in the Toegae school, But Husan Heoyu's tenth generation grandfather was Nammyeong Cho Shik's disciple. The ninth and eighth generation grandfathers were Nammyeong's admir-er. Because of these when Heoyu was born, his spirit was ready for the task of studying. It looked like the Nammyeong school had disappeared. Most of the scholars were studying Toegae and Yulgok school on the right side of the Nakdong river. At that time Heoyu wrote Sinmyeongsadomyeong-hokmun. As he was an alumna from the Nammyeong school. I studied that he pursued the inheritance and meaning of the Nammyeong school. Huson wrote Sinmyeongsadomyeong-hokmun in 1889 to spread Nammyeong's main ideas. Even though he was Yi Jin-sang's disciple in Toegae school, his ancestors were from the Nammyeong school. He completed Sinmyeongsadomyeonghokmun. with the collaboration of many other Nammyeong scholars. He tried to listen and except what other scholars said and by way of logic except, charge of disregard what had been said. This was his way of coming to a final solution. Sinmyeong sadomyeonghokmun was comprised of five main points. These points were fiercly debated. Even though Heoyu accepted some of the scholars contrary opinions he arranged most of his work on Sinmyeongsado myeong-hokmun in 1890. During this work Huson showed Neo-confucianisn more then Nammyeong's study. This means he was Taegae school but at the same time he was Nammyeong school. Because of this he tried to compromise scholastic knowledge. Another effect of his work was to show Nam-in and Noron scholars that they were from the same Nammyeong school. Starting in 1930 the scholars from Nam-in and Noron would meet in Dan-sung once a year because of his work. Here they would debate their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