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陽村權近의 『中庸』解釋과 그 意味 KCI 등재

Yang-chon Gweon-gellil’s Interpretation on the Book of [Jllilg-yong] and Its Significance

양촌 권근의 『중용』해석과 그 의미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6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陽村權近(1352-1409)의 『중용』해석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양촌은 중용의 성격에 대해 주자처럼 道統論의 관점에서 ‘聖學의 心法’우로 파악하지 않고, 鄭玄의 경우처럼 ‘孔子의 聖德’에 초점을 맞추어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중용』을 子思가 天 과 孔子로써 모범을 삼은 것으로 보았다. 둘째,양촌은 중용을 주자의 설처럼 도를 전한 책으로 보면서도 그 도를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하는 敎· 學에 비중을 두어 해석하였다. 셋째, 양촌은 『중용』의 分節(단락나누기)에 있어 大탑는 三節로 나누어 보고 細分해서는 五節로 나누어 요지를 파악하는 새로운 설을 제 시하였는데, 이는 朱子의 四分節說이나 雙峯饒氏의 六分節說과 다른 독창 적인설이다. 넷째,양촌은 단락나누기를 통한 요지파악에 있어서 주자의 설을 근간으로 하되,쌍봉요씨와 番陽李氏(李靖翁)의 설 중에서 장점을 모두 취하여 자신의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였다. 다섯째,양촌은 단락나누기를 정밀히 고찰하는 과정에서 단락을 바꾸는 서술체계에 주목하여, 새 단락의 첫머리에는 반드시 子思의 말로 시작한다는 새로운 주장을 하였다. 여섯째,양촌은 중용의 요지를 道와 德 으로 파악하여,제 1장부터 제 20장까지의 제 1 대절은 君子之德을 말한 것으로, 제 21 장부터 제 32장까지의 제2대절은 聖人之德을 말한 것으로, 제 33장 제3 대절은 결어로 파악하였다. 이는 주자가 제 1절은 中庸을 말한 것으로, 제2절은 費隱小大를 말한 것으로, 제3철은 天道人道를 말한 것으로 제4절은 결어로 파악한 것과 상당히 다른 시각이다.

π괴s paper is a piece of research on Yang-chon Gweon, Geun(陽村 權近, 1352-1409)’s interpretation of [Jung-yong](中庸). The main poi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l) Yang-chon understood the character of [Jung-yong] to ‘ Confucian’s Virtues(聖德)’ like Jeong-Hyeon(鄭玄)’ s opinion, not the view point of Chu-tzu(朱熹)’s ‘the theory of enlightenment(道統論)’. Therefore, he grasped that [Jung-yong] is Ja-sa(子思)’ s pattem after ‘ Cheon(天)’ and ‘ Confucian(孔子)’. (2) While intepreting [Jung-yong], Yang-chon placed more weight on ‘the way of Teaching&learning(敎· 學)’ a1though he grasped that [Jung-yang] is the instructicm book of Tao(道) like Chu-tzu’s viewpoint. (3) Yang-chon suggested the nεw theorγ that [Jung-yang] can be divide ‘大旨’ into ‘三節’ and subdivide ‘三節’ into ‘五節’. This is a trailblazing theory differ from Chu-tzu’s ‘ 四分節說’ or Yo-no(雙峯饒氏)’s ‘六分節說’. (4) Yang-chon keep to Chu-tzu’s theory in grasping the main points throu호 dividing paragraphs, simultaneously, he took the both good points of Y o-no(雙峯饒氏) and Yi, Jeong-ong(番陽李氏)’s theory and suggested his new opinion. (5) Yang-chon insisted new opinion that every header of paragraph must begin with Ja-sa’s mention, while he payed attention to the paragraphing way of [Jung-yang] and its description system. (6) Yang-chon grasped that the main points of [Jung-yong] is ‘Tao (道)’ and ‘ Virtue(德)’. According to this viewpoints, [Jung-yong] can be divide next three parts; ‘君子之德’ - the 1st Unit from chapter 1 to 20, ‘聖A之德’ - the 2nd Unit from chapter 21 to 32, ‘結語’ - the 3rd Unit of chapter 33. This creative theoty is quite differ from Chu-tzu’s next four parts dividing way; ‘中庸’ - the 1st Unit, ‘費隱小大’ - the 2nd Unit, ‘天道人道’ - the 3rd Unit, ‘結語’ - the 4th Unit.

목차
1. 머리말
2. 中庸 의 表章과 分節問題
3. 陽村의 『中庸』解釋과 그 特徵
4. 맺음말
저자
  • 崔錫起(慶尙大漢文學科) | 최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