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최치원의 유학사상 : 사장학과 탈사장학의이중주 KCI 등재

Confucian Thought of Choe Chiwon: a Duet between Cizhangxue and Post-Cizhangxu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259
  • DOIhttps://doi.org/10.14381/NMH.2015.12.30.48.1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최치원은 12세에 唐으로 유학을 떠나 6년 만인 18세에 賓貢科에 급제하여 현지에서 관료로 활동하였다. 16년 동안의 당 나라 생활, 그 리고 28세에 귀국한 이후 신라에서의 활동에서 그는 탁월한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여기에 더해서 그 스스로 유학자로 자처하면서, 그의 학문은 곧 ‘詞章學’으로 이해되었고, 그것은 의심할 수 없는 사실로 받 아들여졌다. 그런데 이 글은 바로 이 지점에서 의문을 제기한다. 기본적 으로 최치원의 학문이 사장학을 중심에 두고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면 서도, 그의 학문이 정말 우리가 믿고 있는 만큼 순수하게 사장학적인가 하는 것이 이 글의 문제의식이자 출발점이다. 최치원의 유학사상에 사장학이 아닌 새로운 지향이 함축될 수 있다 는 점은 어디에 근거를 두고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무엇보다 그가 당나라에 들어가기 50여 년 전, 흔히 송명리학의 선구로 알려져 있는 한유나 이고 등에 의해 이미 유학의 질적 전환이 시도되었다는 사실에서 찾아진다. 이들의 활동이 당시 크게 성공적이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들이 새로운 방향으로의 첫 걸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 은 여러 가지를 시사한다. 당나라 중기 이후 사장학 내부에서 발생한 이와 같은 변화의 흐름을 최치원이 직간접으로 계승하고 있는지 여부 는, 결국 한유와 이고 등의 지향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 확인하는 것과 함께, 그와 유사한 지향을 최치원에게서 찾아 볼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핵심이 된다. 이 글에서는 최치원에게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 첫째로 사장학 의 한계와 함께 그것을 넘어서는 학적 체계를 인정하는 탈사장학적 특징, 둘째로 직접적으로 성리학과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는 지향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최치원으로부터 우리는 사장학적 한계를 넘어서는 탈사장학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經典의 전통보다는 四書의 전통을 준비하고, 공자와 맹자를 道統의 중심에 세우기 위한 여정이 시작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 성리학을 향한 발걸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충분히 사장학으로부터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사장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그에게서 읽을 수 있는 것이다.

Choe Chiwon(崔致遠) went to Tang(唐) to study at the age of twelve, and after six years, he passed Bingongke(賓貢科) when he was eighteen and started working as a government official there. He lived in Tang for sixteen years and then returned home at the age of twenty eight. And working in Silla, he gained fame with his excellent writing. In addition to that, as he called himself as a Confucianist, his study was readily understood as ‘Cizhangxue(詞章學)’, and it was accepted as an unquestionable fact. But this article raises a question at this very point. Basically, this paper accepts the fact that his study was grounded on Cizhangxue but questions if it was as purely Cizhangxue-based’ as we believe. It is a critical mind and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 What is the ground for the point that his Confucian idea implies a new sort of pursuit, not Cizhangxue?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about 50 years before he went into Tang, pioneering scholars of Neo-Confucianism(性理學), such as Han Yu(韓愈) or LeeAo(李翶) had already attempted to transform Confucianism qualitatively. Although we cannot say that the attempts were very successful then, the fact that they made the first step to a newdirection implies some points. Regarding whether he directly or indirectly succeeded to the flow of the change that took place inside Cizhangxue after the mid-period of Tang, the core is to check specifically what Han Yu or Lee Ao pursued and whether he had any similar pursuit to it. This article examines the following two aspects of his: first, the limitations of Cizhangxue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st-Cizhangxue that recognizes an academic system transcending it ; second, the pursuit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direct connection with Neo-Confucianism. Seeing generally about him, we can fin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post-Cizhangxue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izhangxue, but also a journey to prepare for the tradition of Sishu(四書) rather than that of scriptures and begin to set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center of Daotong(道 統). From this very point, we can confirm his step towards Neo-Confucianism. Although he was not completely freed from Cizhangxue, we can still see his effort to overcome its limitations.

저자
  • 금기주(계명대학교 교양교육대학 조교수) | Kim Kee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