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면산 산사태 피해복원지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KCI 등재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Restored Forests following Landslide Areas in Umyeonsan Mount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우면산 산사태 피해지를 대상으로 자연 상태의 피해복원지와 인접 미피해 산림지역 의 토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산사태 발생 1년 후 2012년 9월 피해 극심지 3개 지역(자연 생태공원, 남부순환도로변, 남태령 전원마을)을 대상으로 각 지역별 피해복원지 3개소와 인접한 미피해 산림지역 3개소 등 총 18개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지는 10m×10m 크기의 조사구를 설치한 후 임분 현황 및 토양 이화학적 특성 분석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토양 용적밀도의 경우 피해복원지 1.14g cm-3, 미피해지 0.87g cm-3로 피해복원지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기상의 경우 피해복원지 27.6%, 미피해지 37.7%로 피해복원지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토양 내 유기탄소, 질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농도와 저장량은 피해복원지와 미피해지 및 지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면산 지역 산사태 피해복원지는 인접 미피해 산림지역에 비해 토양 용적밀도나 기상 같은 토양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y in naturally restored forests following landslide in Umyeonsan mountain, where i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ree plots(10m×10m) from restored forests following one-year landslide(2012) and three plots of undisturbed forests were established in three heavily disturbed locations(Natural ecopark, Nambu beltway, Namtaeryeong rural village) an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op 10cm of soil depth. Soil bulk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stored forests(1.14g cm-3) than in the undisturbed forests(0.87g cm-3), while air phase among soil three pha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stored forests(27.6%) than in the undisturbed forests(37.67%).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concentration and stocks of C, N, K, Ca and Mg between the restored and the undisturbed forests among three loc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soil physical property such as bulk density and air phase was worsen on the restored forests compared with the undisturbed forests.

저자
  • 서희영(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Hui-Yeong Seo
  • 마호섭(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Ho-Seop Ma
  • 정수영(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Su Young Jung
  • 김춘식(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oonsig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