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땅밀림 산사태 발생지의 산림환경 특성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Land Creeping Occurr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3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땅밀림 산사태지 총 22개소를 대상으로 땅밀림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 치는 산림환경인자에 대한 인자별 발생분포율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땅밀림 산사태 의 입지환경인자 중 토심은 중(31~60㎝), 표고는 101~200m, 토성은 사양토, 모암은 퇴적암, 지형습 윤지수는 -20~20, 풍화정도는 심한 곳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강우환경인자 중에서 선행강우량은 301~400mm/15day, 발생당일 강우량은 100mm 이하, 강우강도는 6~10mm/hr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사면환경인자 중에서 사면경사는 21~30°, 사면곡률은 -2~0, 사면길이는 100m 이하, 사면방위는 동사 면, 산사태위험등급은 2등급, 산사태 기발생횟수는 0회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임상환경인자 중에서 영 급은 3영급, 임상은 침엽수림지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땅밀림 산사태 발생면적과 각 산림환경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암(퇴적암), 방위(남동사면, 남서사면), 경사도(41°이상), 사면곡률(1~3%)은 1% 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산사태 위험등급 Ⅴ등급이 1%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시간당 강우강도 < 5mm가 5% 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속강우량 < 100mm는 5% 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사면길이 < 100m는 5% 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201-400m는 1%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ranges that affect landslide occurrence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landslide(creeping type) occurrence areas at 22 locations in Korea. All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and each group and the range of these factors that influence landslide occurrence were summarized as below. The topographic group was soil depth (31~60cm), elevation (101~200m), soil type (sandy loam), bed rock (sedimentary rock), topographic wetness index (-20~20), weathering (high). The rainfall group was antecedent precipitation intensity (301~400 mm/15 days), the amount of rainfall on the day of the landslide occurrence (≤ 100mm), rainfall intensity (6~10mm/hr), The slope group was slope angle (21~30°), slope curvature (-2~0), slope length (≤ 100m), slope aspect (East), landslide risk grade (2), the number of previous landslides occurrence (0). Forest vegetation group was age class (III), forest type (coniferous forest). The corel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Bed rock (sedimentary rock), slope angle (≥41°) and slope curvature (1~3 %) were negative correlation with a significant level of 1 %. Landslide hazard grade V and slope length (201~400m) were positive correlation with a significant level of 1 %. Rainfall intensity (< 5mm/hr), the amount of continuous rainfall (< 100mm) and slope length (< 100m) were negative correlation with a significant level of 5 %.

저자
  • 박재현(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Jae-Hyeon Park Corresponding author
  • 이창우(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Chang-Woo Lee
  • 강민정(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Min-Jeong Kang
  • 김기대(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Ki-Da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