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년층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of Old Salaried Wo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6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노년층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 자료를 이용하여 노년층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60세 이상 임금근로자 591명으로, 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노년층 임금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연령, 건강상태, 가구소득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자리 특성 중에서는 종사상 지위, 고용기간연장가능여부, 고용보험․산재보험가입여부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층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old salaried workers, this study analyzed influential factors for job satisfaction of old salaried workers. The data examined in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Waves 4(2011)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Study group targets are 591 old salaried workers aged 60 and o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age, physical health condition, household income, job status, employment period extension, employment insurance․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re the major predi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policy intervention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미현(국제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Park, Mee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