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복지정책의 사회경제적 분석 연구

Society-Economic Analysis of the Elderly Poli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6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정책을 통해 한국 복지국가의 유형 및 특성, 한국 사회의 생산체제와 사회 불평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은 2018년에는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고령 사회로의 진입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주택, 의료, 사회복지 등 여러 분야에 영향 을 끼침으로써 사회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즉 고령화 사회는 노인의 문제 좀더 나아가 그 부양가족만의 문제 뿐만이 아닌 전 국가적 문제로서 노령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전 국가적 부담과 사회적 재앙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사회적 대응책이 시급하다. 노인의 빈곤은 노년기 경제생활의 취약성과 전생애에 걸쳐 누적되는 빈곤에 대한 위협, 가족이전 소득에 기대고 있는 공공부조의 취약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현황 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노인정책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적 이전 소득의 감소로 인한 공공부조 정책의 공고성, 노인 건강정책과 장기요 양서비스의 현실화, 퇴직제도의 개선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욕구에 맞는 현실성 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elderly welfare policy over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tates Korea, Korea society of production systems and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equality. In Korea in 2018 and is expected to enter the 'aging society' entry into the aging society, there affecting the various sectors of social housing,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increased social costs by impact on many areas There was. The aging population means that national social response is urgent because the former can be a burden on the national and social catastrophe if they do not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aging society as a nationwide problem, not just a matter of only a problem of the elderly more further their dependents. The poverty of the elderly can be vulnerable to threats such as public assistance leaning, family income for the previous vulnerability and poverty are cumulative over the entire life of the old age economic life. Analysis of these was to provide direction to the elderly preferred policy through. Announcement of the social assistance policy due to the decrease in private transfer income, elderly health policies and the realization of long-term care services, such as the proposed improvements meet the realities and needs of the social services of the retirement.

목차
Ⅰ. 서 론
Ⅱ. 노인정책의 현황
Ⅲ. 노인복지정책의 방향과 과제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봉화(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Bong-w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