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and Dietary Behavi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6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적 원조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자대학생 115명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들이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요인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의 표집하여 건강증진 생활양식 척도, 자기애적 성격검사 척도, 다차원적 섭식태도 검사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질문지로 응답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는 129.5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으로 실천 정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스트레스 관리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자기애적 성격성향, 다이어트 행위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 행위는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다이어트행위의 고려를 반영하는 복지서비스 투입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여자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으로 제안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115 female college students.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and dietary behavior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ffective helping management in clinical social work. Using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multidimensional dietetic attitude inventory, subjects were self-reported with questionnaire by convenient sampling. Analyses of data were done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item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ubjects was high at 129.51.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stress management, and the lowest degree of self actualization.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ed by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r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and dietary behavior were the factors predi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social work are suggested by input of social services reflecting promotions of health considering with the factors which narcissistic personality inclination, dietary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길귀숙(인덕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Kil, Gwi-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