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탑돌이와 연등의 종교민속적 의미 KCI 등재

Significance of The Religion folklore on Tapdori and Yeondeu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탑돌이는 예경의 대상인 탑을 도는 종교의식이지만, 마당에서 많은 인원이 함께할 수 있는 개방성을 지녀 민속적·축제적 성격이 짙다. 특히 탑돌이는 주로 밤에 등을 들고 행하는 의식이기에 연등(燃燈)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 다. 의식이나 놀이로 불을 밝히는 일련의 풍습 또한 광범위한 문화적 기반을 지니고 있어, 탑돌이와 연등은 불교의식에 국한하기보다는 종교민속적 토대 위에서 다루는 것이 전승양상의 의미를 밝히기에 보다 적합하다. 이처럼 탑돌 이에‘탑·돌기·연등·달’이라는 종교적 정서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가 결집 되어 있어 이를 중심으로 탑돌이의 종교민속적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불교에서‘탑’은 붓다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건축물이지만, 하늘을 향한 수 직성은 마을돌탑·돌무지와 솟대·장승·서낭대·볏가릿대 등 입간(立竿) 구 조물과 함께 일종의 신간(神竿)이자 우주목(宇宙木)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만월 아래서 탑을 도는 것은 우주의 중심에 있는 경배대상을 찬탄하는 몸짓이 자, 달의풍요와생명력을담은지상의리듬이라할만하다.‘ 돌기’의행위는 경배의 대상을 돌아 예경하거나, 달을 모방한 원을 그려 풍요와 생명력을 소 망하는 뜻을 담고 있다. 아울러 도는 것이 밟는 것과 이어지고, 여러 장소나 넓은 공간을 도는 것으로 연결고리를 이어 탑돌이·지신밟기·세절밟기·성 밟기처럼 돌기와 밟기와 순례가 결합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인도와 한국의 기록에서 초기 탑돌이가 밤에 이루어졌듯이 탑돌이는‘연 등’과 맥을 함께하는 의식이었고, 초기의 연등민속은 보름과 밀접한 관련 하 에 성행하였다. 이는 보름달이 상징하는 풍요와 재생을 지상의 섭리로 옮겨놓 기 위한 주술적 기원에 해당한다. 보름밤의 탑돌이는 만월(滿月)이라는 자연 주기를 탑돌이의 주된 요소로 수용함으로써 종교적 정서에 합당하며 전통 탑 돌이의 원형적 면모를 지닌다는 점에서, 가장 한국적인 전통 종교축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달의 축제’로서 탑돌이의 상징성에 주목한다면 탑돌이는 달이 뜨는 밤 시간, 가능하면 보름의 밤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음력 문화와 전통세시풍속의 전승주체인 사찰에서는 달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체계적으로 전통세시를 전승해온 집단은 불교권이 유일하여, 달 의 축제인 탑돌이를 통해 달의 변화로 진행되는 시간의 흐름을 재조명하면서, 전통과 현재를 연결하는 대표적 축제로 승화시켜갈 만하다. 또한 탑돌이는 등을 들고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돌이의 핵심은 탑을 돌며 불법을 마음에 새기는 것이기에, 스스로를 밝히는 등을 들고 참여하는 것은 그 의미를 더욱 깊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축제적 측면에서 보면 탑돌 이는 자신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일종의 행렬이며, 연등은 밤에 행하는 불교 축제의 핵심요소에 해당한다. 따라서 축제의 상징인 등을 직접 밝혀들고 탑돌 이 행렬에 참여하는 것은 축제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Tapdori(circling the pagoda) is a religious ritual which includes circling a pagoda in a manner of worship, however it also has an folk festival characteristic as large numbers of people can carry it out in a garden. Tapdori is a ritual that usually takes place in the evening while holding lanterns, therefore it has close ties with Yeondeung. In addition, as lighting lanterns is being passed down as a tradition as a form of a ritual or amusement, it is more appropriate to view Tapdori and Yeondeung a perspective of religion folklore when examining its transmission pattern. Therefore, I analyzed the symbolization of religion folklore with focus on ‘pagoda, circling, Yeondeung and the moon’. In Buddhism, a pagoda is a piece of architecture which symbolizes the teachings of Buddha, however its verticality represents Singan, and ujumok(cosmic tree). Thus, circling around the pagoda under a full moon is an action of praising the subject of worshipping at the center of the earth and an earthen rhythm embodying the abundance and vitality of the moon. The action of ‘circling’can be interpreted as giving worship by circling a subject or as praying for abundance and vitality by imitating the shape of the moon. Furthermore, circling can be connected to the action of stepping, and by circling a number of areas or large areas, the actions can be interlinked as Tapdori, stepping on the god of earth, stepping on three temple, stepping on castle, a mixed combination of circling, stepping and pilgrimage. As records in India and Korea show that the early Tapdori took place in the evenings, Tapdori was a ritual that was carried out with Yeondeung and the early lantern folklore are highly related to the full moon. Such culture can be seen as desires of transferring the providence of abundance and regeneration of the full moon onto the surface of the earth. Like this, Tapdori at full moon embraces the cycle of the full moon as a major factor of Tapdori, therefore being the most suitable traditional celebration to the religious sentiment of Koreans. Furthermore, because Tapdori at full moon is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Tapdori,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Korean Buddhist folk ritual. Accordingly, if we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Tapdori as a ‘festival of the moon’, it is most advisable to circle the pagoda on a night where the moon is in the sky.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Buddhist sector to focus on the subject of transmission, the changes in the moon, as a part of the lunar culture and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By shedding new perspective on the passing of time, based on the changes in the moon, Tapdori may become the most representative celebration connecting tradition and the modern day into one. In addition, it is most advisable to circle the pagoda while holding a lantern. This is because, the key point of Tapdori is printing Buddhism in the heart, and participation through lighting one’s own light has a great significance. From a celebratory perspective, Tapdori is a type of procession in which oneself is the subject, therefore Yeondeung are a key factor to the Buddhist celebration which takes place in the evenings. Accordingly, participating in Tapdori holding a lantern will become a significant factor in strengthening the celebratory aspect of Tapdori.

목차
Ⅰ. 불탑과 우주목의 신앙
Ⅱ. '돌기' 의식과 민속적 전개방식
Ⅲ.‘ 연등’의식과결합된탑돌이
Ⅳ. 달의 축제, 탑돌이
저자
  • 구미래(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학술연구교수) | Koo, Meer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