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병시식은 원인 모를 병으로 고통받는 이를 치유하기 위한 의례로, 병 의 원인이 이승을 떠돌며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책주귀신 영가’로 인한 것임을 전제로 한다. 이에 영가에게 불교의 가르침을 일러주고 음식을 베풀 어 천도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현장에서 전승되는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병시식은 독립된 의례이지만, 중생을 지켜주고 삿된 기운을 물리 치는 신중의 위신력을 중시하여 신중기도와 함께하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조왕기도-구병시식의 결합도 드러나,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조왕신이 구병 의 기도대상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구병시식을 행하는 시공간의 경우, 다른 시식과 비교할 때 ‘해가 진 뒤’와 ‘법당이 아닌 제3의 공간’이라는 원칙이 견고한 편이다. 이는 질병 치유의 목적성과 함께 해를 미치는 존재로서 영가의 특수성이 작용하여, 시 공간에 대한 전통 관념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설단 구성 에서 예외적인 마구단 설치는 영가를 떠나보내는 데 초점을 둔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의례 주체인 환자의 배석에 대해서는 동참・불참의 두 양상이 공 존한다. 동참을 이끄는 경우 본인이 직접 치르고 영가도 법문을 잘 들을 수 있어 천도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불참을 이끄는 경우 법주의 집중에 방해 될 수 있으며, 환자가 피해를 볼 수 있고 영가를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고 본다. 넷째, 천도를 위한 ‘자비심’과, ‘분리・배척’이 함께하는 이중구조를 살필 수 있다. 보편적으로 행하는 팥 뿌리기, 불 끄기, 말[馬] 청하기 등을 비롯 해, 사찰에 따라 민속적 요소를 수용함으로써 배척의 기능이 강화되는 측면 이 뚜렷하다. 이는 재물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의례를 마칠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된다. 구병시식의 이러한 특징은 영가가 처한 세계를 명확히 인식시키는 가운 데, 산 자들 또한 건강한 일상으로 돌아오게 하는 당위성에 따른 것으로, ‘자비심 속에서 떠나보내는 지혜로운 배척’이라 하겠다. 아울러 구병시식과 민속신앙의 접점이 커서, 의례 본연의 의미와 절차를 지키는 가운데 민간의 다양한 요소를 수용하는 경향이 뚜렷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신중의례는 다른 불교국가들에 비해 일상화ㆍ체계화되어 있다. 이는 법당의 구조가 상단ㆍ중단ㆍ하단의 삼단체계로 정립되어 있는 데서도 잘 드러난다. 신중의례는 법당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연례적 세시의례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지속성을 지닌 채 견고하게 정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신중신앙이 세시의례에 수용되는 양상을 다루어 불교와 민속이 결합된 신앙대상으로서 ‘신중’이 한국인의 종교적 삶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며 전승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첫째, 정초를 중심으로 ‘시작’의 의미와 결합된 신중신앙의 시기적 특성을 뚜렷이 살필 수 있다. 신중의례는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매달의 초하루법회와 새해의 정초기도에서 본격적으로 부각된다. 이는 불교의례의 구조에서 볼 때, 신중을 먼저 청하는 목적이 의례의 원만한 회향을 위해 도량을 옹호하고 삿된 것을 물리치는 의미를 지니는 것과 같다. 일상의 신중의례가 매월의 초하루기도와 연례적 정초기도로 확대되면서 그 존재의미를 공고히 다져가고 있다.
둘째, 마을에서 공동체의 주신을 모시고 지내는 정초 동제에 사찰이 참여하는 일련의 양상을 들 수 있다. 마을신앙과 결합된 정초의례로 당산제ㆍ산신제ㆍ용신제 등이 있으며, 사찰에서 일방적으로 이끌어가는 의례만이 아니라, 마을과 사찰이 공동주체가 되거나, 지역축제에서 제의를 맡아 공동체의 일부로 기능하는 등 다각적인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셋째, 경내의 곳곳에 자리한 영역신을 대상으로 한 의례가 연말연초에 집중 설행되고 있다. 이들 영역신은 가정신앙의 가신(家神) 개념과 유사한 성격을 지녀 사천왕은 문신, 조왕신은 부엌신, 산신과 가람신은 터주신 등에 견줄 만하다. 특히 이들 신을 대상으로 한 의례를 개년(改年)의 시점에 올리고 있어, 한 해가 교차되는 종교적 시간에 삿된 기운이 침범하지 않도록 가람을 수호하려는 바람을 읽을 수 있다.
넷째, 개별 기능신으로 단오의 용왕신과 칠석의 칠성신을 들 수 있다. 용왕신은 양기가 가장 강한 단오에, 불기운을 눌러 화재를 막거나 비를 빌기 위해 사찰의 주요 세시의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칠성신은 자녀의 무사다복을 비는 대표적인 신격으로, 칠석에 올리는 칠성기도는 이러한 불자들의 소망을 담은 소중한 의례로 전승되고 있다.
탑돌이는 예경의 대상인 탑을 도는 종교의식이지만, 마당에서 많은 인원이 함께할 수 있는 개방성을 지녀 민속적·축제적 성격이 짙다. 특히 탑돌이는 주로 밤에 등을 들고 행하는 의식이기에 연등(燃燈)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 다. 의식이나 놀이로 불을 밝히는 일련의 풍습 또한 광범위한 문화적 기반을 지니고 있어, 탑돌이와 연등은 불교의식에 국한하기보다는 종교민속적 토대 위에서 다루는 것이 전승양상의 의미를 밝히기에 보다 적합하다. 이처럼 탑돌 이에‘탑·돌기·연등·달’이라는 종교적 정서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가 결집 되어 있어 이를 중심으로 탑돌이의 종교민속적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불교에서‘탑’은 붓다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건축물이지만, 하늘을 향한 수 직성은 마을돌탑·돌무지와 솟대·장승·서낭대·볏가릿대 등 입간(立竿) 구 조물과 함께 일종의 신간(神竿)이자 우주목(宇宙木)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만월 아래서 탑을 도는 것은 우주의 중심에 있는 경배대상을 찬탄하는 몸짓이 자, 달의풍요와생명력을담은지상의리듬이라할만하다.‘ 돌기’의행위는 경배의 대상을 돌아 예경하거나, 달을 모방한 원을 그려 풍요와 생명력을 소 망하는 뜻을 담고 있다. 아울러 도는 것이 밟는 것과 이어지고, 여러 장소나 넓은 공간을 도는 것으로 연결고리를 이어 탑돌이·지신밟기·세절밟기·성 밟기처럼 돌기와 밟기와 순례가 결합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인도와 한국의 기록에서 초기 탑돌이가 밤에 이루어졌듯이 탑돌이는‘연 등’과 맥을 함께하는 의식이었고, 초기의 연등민속은 보름과 밀접한 관련 하 에 성행하였다. 이는 보름달이 상징하는 풍요와 재생을 지상의 섭리로 옮겨놓 기 위한 주술적 기원에 해당한다. 보름밤의 탑돌이는 만월(滿月)이라는 자연 주기를 탑돌이의 주된 요소로 수용함으로써 종교적 정서에 합당하며 전통 탑 돌이의 원형적 면모를 지닌다는 점에서, 가장 한국적인 전통 종교축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달의 축제’로서 탑돌이의 상징성에 주목한다면 탑돌이는 달이 뜨는 밤 시간, 가능하면 보름의 밤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음력 문화와 전통세시풍속의 전승주체인 사찰에서는 달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체계적으로 전통세시를 전승해온 집단은 불교권이 유일하여, 달 의 축제인 탑돌이를 통해 달의 변화로 진행되는 시간의 흐름을 재조명하면서, 전통과 현재를 연결하는 대표적 축제로 승화시켜갈 만하다. 또한 탑돌이는 등을 들고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돌이의 핵심은 탑을 돌며 불법을 마음에 새기는 것이기에, 스스로를 밝히는 등을 들고 참여하는 것은 그 의미를 더욱 깊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축제적 측면에서 보면 탑돌 이는 자신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일종의 행렬이며, 연등은 밤에 행하는 불교 축제의 핵심요소에 해당한다. 따라서 축제의 상징인 등을 직접 밝혀들고 탑돌 이 행렬에 참여하는 것은 축제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