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nsmission and Field-Contextual Understanding on GuByeong-Sisik
구병시식은 원인 모를 병으로 고통받는 이를 치유하기 위한 의례로, 병 의 원인이 이승을 떠돌며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책주귀신 영가’로 인한 것임을 전제로 한다. 이에 영가에게 불교의 가르침을 일러주고 음식을 베풀 어 천도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현장에서 전승되는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병시식은 독립된 의례이지만, 중생을 지켜주고 삿된 기운을 물리 치는 신중의 위신력을 중시하여 신중기도와 함께하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조왕기도-구병시식의 결합도 드러나,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조왕신이 구병 의 기도대상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구병시식을 행하는 시공간의 경우, 다른 시식과 비교할 때 ‘해가 진 뒤’와 ‘법당이 아닌 제3의 공간’이라는 원칙이 견고한 편이다. 이는 질병 치유의 목적성과 함께 해를 미치는 존재로서 영가의 특수성이 작용하여, 시 공간에 대한 전통 관념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설단 구성 에서 예외적인 마구단 설치는 영가를 떠나보내는 데 초점을 둔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의례 주체인 환자의 배석에 대해서는 동참・불참의 두 양상이 공 존한다. 동참을 이끄는 경우 본인이 직접 치르고 영가도 법문을 잘 들을 수 있어 천도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불참을 이끄는 경우 법주의 집중에 방해 될 수 있으며, 환자가 피해를 볼 수 있고 영가를 위해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고 본다. 넷째, 천도를 위한 ‘자비심’과, ‘분리・배척’이 함께하는 이중구조를 살필 수 있다. 보편적으로 행하는 팥 뿌리기, 불 끄기, 말[馬] 청하기 등을 비롯 해, 사찰에 따라 민속적 요소를 수용함으로써 배척의 기능이 강화되는 측면 이 뚜렷하다. 이는 재물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의례를 마칠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된다. 구병시식의 이러한 특징은 영가가 처한 세계를 명확히 인식시키는 가운 데, 산 자들 또한 건강한 일상으로 돌아오게 하는 당위성에 따른 것으로, ‘자비심 속에서 떠나보내는 지혜로운 배척’이라 하겠다. 아울러 구병시식과 민속신앙의 접점이 커서, 의례 본연의 의미와 절차를 지키는 가운데 민간의 다양한 요소를 수용하는 경향이 뚜렷함을 알 수 있다.
The Gubyeong-Sisik is a ritual for healing those suffering from unexplained illnesses, and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llness is caused by ghosts(Chaekju ghost) that harm humans. Therefore, it is a ritual to teach Buddhist truth, give food, and send it to a good place. Aspects of the ritual that are passed down in the field include. First, the Gubyeong-Sisik is a stand-alone ritual, but it is often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a Guardian Deities prayer, as it is believed to have the power to protect sentient beings and ward off evil spirits. And the combination of the ‘Jowang prayer and Gubyeong- Sisik’ also shows that the God Jowang, who deals with life and health, was also the target of healing prayers. Secondly, the time and space in which Gubyeong-Sisik is performed is more robust in terms of the principles of ‘after sunset’ and ‘a third space other than the temple’ compared to other Sisiks. This is because it has a strong healing purpose, giving great significance to traditional notions of space and time. We can also see that the installation of Magudan, which is an exception in Sisik, is a device that exorcises ghosts. Third, in the case of the patient as a ritual subject, the two aspects of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coexist. When patien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they believe that their involvement helps Cheondo by making the ghosts listen to the truth. On the other hand, we don't want patients to be present because we believe it can be distracting and damaging. In contrast, temples that do not want patients to participate are considered distracting and damaging. Fourth, in addition to compassion for Cheondo, we can examine the dual structure of separation and exclusion. This is the case with universal practices such as sprinkling red beans, putting out fires, and calling a horse. At the same time, there is a distinct aspect of individual adoption of folkloric elements that reinforces the function of ostracism.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described as a ‘compassionate and wise exclusion,’ as it makes the ghosts aware of the world they are in and returns the living to a healthy routine. In addition, Gubyeong-Sisik's close contact with folk beliefs suggests that it has embraced many folkloric elements while maintaining the underlying meaning and procedures of the rit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