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igure paintings by Nong Jin (1687~1763)
금농(1687~1763)의 인물화연구
본 연구에서는 동양화에서 반복되는 주제인 ‘전통의 계승과 혁신’이란 측면에서 김농의 인물화 작품을 통해 전대 양식의 수용과 자기화 과정과 후대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김농 인물화의 전대 양식의 수용과정을 이공린(李公麟) 을 연상하게 하는 백묘양식과 양해(梁楷)의 감필법(減筆法)과 묵법(墨法), 마화지(馬和之)의 난엽묘(蘭葉描), 곤잔(髡殘)의 도 상(圖象)의 영향으로 세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하고, 자기화 과 정을 거쳐 예체(隸體)를 연상시키는 서법적인 붓질을 이용하여 중국 불화 역사상 가장 독특한 구조를 가진 불상도인 <설색불 상도(設色佛像圖)>의 새로운 창작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 히 김농의 <달마도>는 청초 개성파 화가인 곤잔의 영향을 받 아 제자 나빙(羅聘)을 거쳐 해상화파 화가인 오창석(吳昌碩)에 게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밝혔다. 인물화는 동서를 막론하고 대단히 오랜 역사적 전통을 지닌 장르이다. 그러하기에 인물화에 관한 조형적 경험과 이론 역시 대단히 폭 넓고 풍부하다. 개괄적으로 정리하자면 서구의 인물 화가 인물의 형태와 색채 등 외형적인 조건에 관심을 두는 것 이라면, 동양의 인물화는 대상이 되는 인물이 지니고 있는 내 적인 내용의 표출에 가치를 두는 것이라 정리할 수 있을 것이 다. 전통적인 동양화론으로서 전신(傳神)은 예술가의 창작개념 에 직접 관여하는 것보다 인물화 작품에 나타나는 정신적인 문 제를 중요시 한다. 그러나 현대미술로서 인물화는 예술가의 창 작주체가 강화되었기 때문에 전통적 전신의 개념과 뜻을 참고 하여 정신표현의 현대적으로 접근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 금농의 창작 작품 <설색불상도>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Nong Jin's acceptance of traditional modes, self-process, and influences to generations to come through the figure paintings by Nong Jin in terms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 and innovation', a subject recurring in oriental painting. The process of accepting traditional modes was classified into four: the impacts from the plain sketch reminding of Gonglin Li, zen painting and ink stick technique by Kai Liang, orchid-like brush technique by Hezhi Ma, and Iconology by Shixi.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a new creation of his colored painting of Buddha, a painting of Buddha that is the most distinguished in its structure in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in China and is applied with calligraphic brush strokes reminding of Ye technique through self-process. In particular,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paintings of Dharma by Nong Jin was influenced by Shixi, a characterful painter of the Qing Dynasty, and affected Ping Luo, his student as well as Changshi Wu, a Haipa school painter. Figure painting is a genre that has a long history not only in the East, but in the West. That is why formative experiences and theories with regard to figure paintings are very broad and rich. In general, while figure paintings in the West are concerned with external conditions of a figure such as appearances and colors, those in the East value the expression of internal contents of a subject. Transmission of the spirit as a traditional theory of oriental painting does not come in on the creative concept of an artist, rather it values emotional issues appeared in figure painting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pproach figure paintings by referring to the meaning and concept of traditional transmission of the spirit as figure painting as Modern Art has been enhanced with a subject of creation by artists. Colored painting of Buddha created by Nong Jin would be a help for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