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Gyeongsangbuk-do Region Compendium signboard of Misu Heomok
미수허목의 경북지역 전서현판연구
허목許穆(1595(선조 28)∼1682(숙종 8)은 본관이 양천陽川, 자는 문보文甫·화보和甫등이고, 호는 미수眉叟〮.태령노인台嶺老人이 다. 허목은 당시 보기 드문 개성적인 자가풍의 전서를 활용해 많은 작품을 남김으로써 후인들이 그의 이런 전서를 두고 ‘미 전眉篆’이라고 칭하였으며, 전서로는 ‘동방제일’이라는 평가를 얻었다. 그의 학문은 고학古學이고, 문장은 고문古文이며, 서예 는 고서古書라고 할 수 있다. 허목은 삼대치도三代治道의 이상향을 미전眉篆으로 표현하였 고, 삼대三代를 동경하며 그 때와 같은 태평성대가 실현되기를 기대하였다. 특히 자신이 만든 미전眉篆을 고집한 이유도 여기 에 있었다. 그러나 당색에 따라 그의 전서를 위전僞篆으로 폄 하하기도 하고, 가치를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 특히 경북지역 에 산재되어 있는 허목의 전서현판은 빼어난 조형성과 역사성 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예사적으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지금까지 상세히 연구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경상북도에 산재되어 있는 허목의 미전 으로 걸린 현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서예사 자료보강에 일조하 고 ‘미전眉篆’의 예술적 가치를 되짚어 보는데 의미를 두었다. 허목의 경북지역 전서를 다루기에 앞서 우선 허목의 생애와 학 통을 검토하였다. 왜냐하면 삶과 학통은 한 사람의 학문성향과 예술환경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강 정구와 퇴계에 이르는 학통에 따라 경북지역 성리학자들과 교류가 있었고, 그 들의 서원이나 별당 혹은 사랑채에 허목의 미전이 걸리게 되었 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아울러 당색에 따라 호불호가 나뉘었던 17세기 시대환경에 따라 동색同色의 선비들의 거소居所에 다수 의 미전이 걸렸다는 것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경북지 역 명가들의 서원, 사랑채, 별당에 걸린 허목의 전서현판의 내 용과 예술적 격조를 살펴봄으로써 그 동안 가려졌던 그의 예술 적 위상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봉화의 충재 권벌의 별당에 걸린 <청암수석>현판은 미수의 절필작絶筆作으로 밝혀졌고, 미전의 최종예술성을 지닌 작품으 로 천진한 품격을 보여주어 주목되었다. 영천의 완귀 안증의 정자인 완귀정에 걸린 <완귀정>현판은 주변의 정경과 어울리 게 문자의 편방을 재구성하였고, 각 문자에 맞으면서 전체 장 법을 고려한 예술성을 지니고 있다. 안동 하회마을 서애 류성 룡의 종택에 걸린 <충효당>현판은 이 건물의 당호이며, 서애 의 유시遺詩[후세에 전하다]에서 강조한 충忠자와 효孝자를 넣 어서 만든 현판이다. 충과 효를 강조한 내용을 살리면서도 경 직되지 않고 변화를 모색한 필획미를 느낄 수 있다, 성주의 회 연서원은 미수의 스승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건물이다. 스승을 대하듯이 운필에서 멋과 변화를 줄여 절제되고 정제된 분위기 를 드러낸다. <옥설헌>현판의 옥[귀하게 여김]玉자에 좌우로 길게 드리워진 대칭획이 일품이며, 장법에 있어서도 안정과 대 칭을 중시한 점이 살펴진다. 이와 같이 미전眉篆이 유독 많이 남아있는 경북지역 허목의 전서현판을 통해 한국서예사의 자료발굴에 일조하고, 미전眉篆 의 예술성에 대해서도 접근해 보았다. 아울러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을 통해 한국서예의 새로운 면모를 개척한 허목에 대한 재 평가와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Heomok (1595 (Seonjo 28) ~1682 (Sukjong 8)) had a family clan name Yangcheon, eponyms such as Munbo and Hwabo , and pen name Misu, Elderly Taeryong and others. Heomok left a number of works that were singularly individual and Jaga-style utilizing seal script (one of ancient Chinese script style, Geonseo) to be later called ‘Migeon’, and got a rating of “the best in the east”. His area of the study was Gohak (A kind of primitive Confusianism), and his sentence was Gomun (prose style Chinese character), and his calligraphy can be said to be Goseo. Heomok represented a utopia of Samdai Chidori (ways of governing for three generations), and was expecting a reign of peace would be realized with a yearning for such three generations. In particular, this was the very reason that he was sticking to Migeon (signboard of Heomok) he himself made. However, according to the political party trend of his time, his seal script was either disparaged as a fake or praised highly. Especially, despite Heomok’s compendium signboards, that were scattered throughout in Gyeongsangbuk-do region, have superb formativeness and historicity, the present situation is that his work has not been evaluated properly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until now and has never been studied in detail.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find a meaning in contributing to reinforcing data on Korean history of calligraphy, and in revisiting the artistic value of Migeon by investigating the signboards hanging as Migeons of Heomok scattered in Gyeongsangbuk-do. Prior to dealing with seal script of Heomok in Gyeongsangbuk-do, this paper first examined his life and his scholastic mantle as life and scholastic mantle govern the academic propensity and the environment of arts. As a result, this paper revealed that there was interaction with scholars in Gyeongsnagbuk-do Confucianism party in accordance with a scholastic mantle from Hangang Jeonggu to Toegye, and the Migeons of Heomok were hanging in their Seowon (Confucius memorial hall), annex, or a detached hous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a number of Migeon was hanging from the residences of scholars of the same color in accordance with the 17th century environment that was divided into the likes and dislikes depending on the colors of the parties. Through these, this paper could grasp his artistic status that had been overshadowed by looking at the content and artistic tones of Heomok’s compendium signboards hanging in Seowon, annex, or a detached house. <Cheongamsuseok> signboard hung in the annex of Chungjai Gwonbeol of Bonghwa turned out to be his last work, and was noted as a work with his final artistry showing innocent character. <Wangwijeong> signboard hanging in the pavillion of Wangwi Anjeung’s pavillion in Yeongcheon reconstructed its character’s radicals to go well with the surrounding scenery, and has the artistry fitting each character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overall calligraphic method (Jangbeop) in mind. <Chunghyodang> signboard in Seoae Seongryong Ryu’s Head House in Andong Hahoe Village is a byname of this building and is a signboard made of fidelity and filial piety that were stressed in Seoae’s poems for the future generations (Yusi). While highlighting fidelity and filial piety, it made one feel the beauty of calligraphy that was not rigid seeking changes. Hoeyeon Seowon is a building built to honor a teacher of Misu. It revealed the abstinence from smartness and changes in calligraphy stroke to reveal the reduced and refined atmosphere as if to meet a great mentor. A caligraphy of a character ‘Ok’ (玉) drawn long in <Okseolheon> signboard showed peerless symmetrical strokes fringed long with an emphasis on stability and symmetry in calligraphic method. Like this, this paper contributed to the data excavation of Korean calligraphic history through compendium signboard of Heomok that are especially found in abundance only in Geongsangbuk-do, and approached the artistry of Mige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revaluation and subsequent research on new aspects of Heomok who pioneered new aspect of calligraphy through his own characteristic work should be follo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