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경광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f the Academic Stress of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4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파악하고 학업정서의 분석을 통해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정서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3년제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 192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학업스트레스는 고위험집단( >130점), 잠재위험집단(80~129점), 건강집단(<80점)으로 분 류하여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 과: 학업스트레스 중 시험스트레스가 3.05, 공부스트레스 2.78, 수업스트레스 2.69, 그리고 성적스트 레스 2.61순 이였으며, 그 중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학업정서에서는 부정정서 중 지 루함이 3.18, 분노 2.61, 불안 3.11을, 그리고 긍정정서 중 즐거움이 2.87, 희망 3.22, 긍지 3.25를 각각 나타 내었다. 그 중 부정정서에서는 지루함이, 긍정정서에서는 긍지가 각각 가장 높은 학업정서를 나타내었다.
결 론: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지루함과 긍지에서 가장 높은 학업정서 수치를 나타내었다. 학업스트레스 수준 중 고위험 집단에서는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부정정서에서는 지 루함, 분노, 그리고 불안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그리고 긍정정서에서는 희망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 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학생일수록 부정정서 수치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어 눈높이에 맞는 대학생활 지도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ademic stress of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academic stress on the academic emo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ir academic emotions.
Method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92 copies of a survey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motions conducted with students enrolled in a three-year course of the Dept. of Optometry. For academic stres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high-risk group (>130 points), a potential-risk group(80-129 points) and a health group(< 80 points)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academic stress, and statistical software, SPSS18.0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f academic stress, test stress was 3.05; study stress, 2.78; class stress, 2.69; and school record stress, 2.61. Of them, test stres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negative emotions in academic emotions, boredom was 3.18; anger, 2.61; and anxiety, 3.11 while of positive emotions, pleasure was 2.87; hope, 3.22; and pride, 3.25. Boredom showed the highest academic emotion of negative emotions while pride showed the highest academic emotion of positive emotions.
Conclusions: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had the highest test stress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academic emotion in boredom and pride. The high-risk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est stress in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and the highest value of boredom, anger and anxiety in negative emotions while it showed the highest value of hope in positive emotion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the higher their negative emotion became, so it is judged that guidance and interest in college life at their eye level would b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하위영역별 기술통계
  3.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의 상관분석
 Ⅳ. 결 론
 Reference
저자
  • 김세진(백서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 | Se-Jin Kim
  • 예기훈(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 | Ki-Hun Ye
  • 홍경희(대한안경사협회 중앙회, 서울) | Kyung-Hee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