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생식물로부터 내건성 식물의 최적인자 선발과 생육특성 KCI 등재

Selection Indices to Identify Drought-tolera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Korean Native Pl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1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내건성 식물 선발을 위한 최적 인자를 구명하고, 이들 내건성 식물들의 생장특성을 조 사하였다. 건조저항인자에 대한 나머지 건조저항일(RD), 엽면적(LD), 단위증산량(UTR), 상대함수량 (RWC), 상대수분손실량(RWL), 엽면적(LA), 기공수(SN) 및 기공면적(SA) 등 6개 인자들을 비교한 결과 상대수분손실량과 단위증산량이 건조저항일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PCA분석 결과 SA, LA, RD는 한그룹으로 RWC와 SN은 다른 한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UTR은 SA, LA와, RWL은 RWC와 SN과 음의 상관을 보였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느릅나무, 도깨비바늘, 뚝갈, 매듭풀, 새, 더위지기, 맑은대쑥, 독말풀, 긴담배풀, 소리쟁이, 비수리, 장구채, 개기장, 도깨비가지를 내건성 식물 종으로 선 발하였고, 이들에 대한 생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절토사면지에서 내건성 식물의 줄기생장은 식물 종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줄기생장과 잎의 수는 느릅나무를 제외하고 폿트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그러나 절토사면지에서 내건성 식물 뿌리 생장과 T/R율은 폿트생장과 큰 차이를 보였고, 특히 T/R 율은 폿트묘보다 월등히 낮았다. 이 결과로 보아 선발된 내건성 식물은 절토사면지와 같이 척박한 토양 에서도 잘 적응할 것으로 나타나 내건성 식물의 육종 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est drought tolerance index was determined through statistics analysis and growth appearance of drought tolerant plants was determined by cultivation in pot and sloping land. For determination of best drought tolerant indicators, RD(Resistant dry days), LD(Leaf area), UTR(Unit transpiration), RWC(Relative water content), RWL(Relative water loss), LA(Leaf area), SN(Stoma unmber) and SA(Stoma area) were carried out by correlation and PCA analysis. RWL and UTR were affected on plant drought tolerance according to comparison among six indices for resistant dry days. The PCs axes separated SA, LA, RD and RWC and SN. UT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 RWL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RWC and SN. RWL and UTR were proved best selection indicator for the selection of drought tolerant species. Ulmus parvifolia, Bidens bipinnata, Patrinia villosa, Kummerowia striata, Arundinella hirta, Artemisia gmelini etc. were selected drought tolerant plants. Shoot growth appearance of drought resistant plants was differed pot and sloping land. Shoot growth and leaf number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t and sloping land. However, root growth of drought tolerant plants was all the difference between two cultivation. T/R ratio of drought tolerant plants was also found a big difference. T/R ratio of drought tolerant plants in sloping land was lower than that of pot. These results will be served efficiently plant breeding.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임현정((재)하동녹차연구소) | Hyeon Jeong Im
  • 송현진(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종묘관리과) | Hyeon Jin Song
  • 정미진(국립수목원 식물보존과) | Mi Jin Jeong
  • 서영롱(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Yeong Rong Seo
  • 김학곤(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Hak Gon Kim
  • 박동진(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Dong Jin Park
  • 양우형(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Woo Hyung Yang
  • 김용덕(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Yong Duck Kim
  • 최명석(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yung Suk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