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字語の語彙性特性による指導への一考察 -日韓2字漢字語を中心に-

Consideration to Guidance by Vocabulary Properties of Kanji Words - Focusing on Japan and south Korea Two Kanji Words -

  • 언어JPN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1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日本文化論叢 (일본문화논총)
대한일본문화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Japanese Culture)
초록

본 연구는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는 2자 한자어에 초점을 두어 품사성 특징, 어휘적 성질, 통어적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목적은, 두 언어 모두 한자어의 쓰임이 많고, 각각의 고 유어와 거의 흡사하게 쓰이고 있다는 공통점을 이용하여, 양언어의 학 습자에게 유의한 학습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일본어에서는 ‘한 자어동사’ 혹은 ‘한어동사’라고도 쓰이는데, 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았 고, 한국어에서는 어종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한자어의 위치에 대해 검 토해 보았다.
나아가, 한자어에 접속되는 여러 가지 어미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자 어가 가지고 있는 어휘성의 특징을 일한 양 언어 간에 비교해 보았다. 물론, 공통점이 있는 반면, 상이점도 많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오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부분 또한 명확하게 밝혀야 하지만, 지 면상 금후의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한국어에서도 한자어의 위치는 중요한 부분을 차 지하고 있고, 한국어교육에 있어서도 반드시 고려되어 지도해야 할 부 분이다. 일한 양언어의 한자어의 어휘적 특성과 지도에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알아보았고, 여기에 대한 지도사항이 절실히 필요함이 인식되어 야 한다.

목차
1. はじめに
 2. 日本語と韓国語の漢字語の位相
 3. 両言語における漢字語の類似点と相違点
  3.1.日韓両言語における類似点
  3.2. 日韓両言語における相違点
  3.3. 日韓漢字語の語彙性特徴
 4. 日韓漢字語に関わる品詞性の対照
  4.1. 動作性を持つ漢字語- suru動詞/ hada動詞
  4.2. 状態性を持つ漢字語- -na形容詞/ -hada形容詞
 5. 終わりに
 参考文献
저자
  • 朴善婤(나고야대학 국제언어문화연구과) | 박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