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 , 소아기 아동의 비정상 시력에 대한 영향요소 분석 - 영유아기 시생활의 주변환경 및 습관을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about Abnormal Vision of Preschool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대전지역의 만3세부터, 7세까지의 유치원 아동들 중 1 ,455명을 대상으 로 영 ·유아 시기의 주변 환경 및 습관이 시력에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요소들올 성 문하고 안과병원과 협조하여 단체 시력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난시는 Spherical equivalent로 환산하여 정상 시력 군은 -0.75D - +0.75D 사이의 범위이면서 양안의 나 안시력이 0.65 이상을 모두 만족한 아동으로 하였고 나머지를 비정상 시력 군으로 구 분하였다. 단, 상기의 구분에서 정상 시력 군으로 판정이 되었어도 Spherical equivalent에 의한 양안의 차이가 2.00 D 이상일 경우는 비정상 시력 군으로 분류한 결과, 83.6% 의 비정상적 시력을 보였으며 연령별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출 생시 체중이 2.5Kg 미만 군에서 비정상 시력 군이 86.3%로 가장 많았으나 체중별 결 과도 유의하지 않았다. 수유와 관련한 사항에서는 모유와 분유와 이유식을 모두 먹은 군에서 정상 시력 군이 22.9%로 가장 많았으며 수유기간은 197~ 월 이상 동안 수유한 군에 서 정 상 시 력 군이 22.0% 로 가장 많았으나 역 시 유의 하지 않았고 초유의 음용 여부에서는 “모두 먹었다”는 군에서 정상 시력 군이 2 1.1%로 가장 많았고 통계학적 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P=O. OO6). 수유기간 동안 및 최근 기간동안에 수면 시 조명상태에서는 “등을 켜고 잔다”는 군에서 비정상의 시력 꾼이 각각 90.0%, 85.0% 로 가장 많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부모의 시력교정 여부에 따른 사력검 사 결과에서 “부모 모두 교정하였다”의 군에서 비정상 시력 군이 89.2% 로 가장 많았 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출생 후 질병의 유무와 임신기간별 사력검사 결과에서도 그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hat how environment of visual life and habit of preschool children those who 3 to 7 years old affected upon their vision. Randomized 1,455 among the presch∞1 children were selected and checked up their visual acuity in cooperation with the Eye Clinics and Hospitals at Daejeon.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s; 83.6% was abnormal visual acuity(more than 2 lines difference or less than 0.65 of binocular visual acuity). However, there was not statistically mean by age and weight distribution for the result. The group of abnormal visual acuity is 86.3% more than any group when they were bom under 2.5kg. In the relevant facts of lactation, the group of normal visual acuity is 22.9%, it means that breast feeding children with powder milk and weaning food were the most any other children. And also the period of lactation is more than 9 months, the group of normal visual acuity is 22.0%. 21.1% has normal visual acuity because of eating colostrum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p=O.OO6). When they used to sleep with tum on the lights during lactation and upto recent period, the abnormal visual acuity of these group were 90.0% and 85%. According to upon the state of corrected vision of parents, the abnormal visual acuity was 89.2% in the group which both parents were corrected vision. 1 could not find the results of statistically mean in the disease after bom and during the pregnancy period.

저자
  • 김흥수(대전보건대학) | Heung-So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