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 거주 어린이에서 안구성장이 근시진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ocular growth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who live in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서울 수색초둥학교 3-5학년 재화생 111 명(남 45명, 여 66명) 222안올 대상으로 굴 철이상도, 각막곡률 및 안구의 걸이롤 측정하여, 8개월 동안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조절마비 상태에서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둥가구면 굴철이상도의 펑균 변화도는 -0.32:3 ::t 0.346 D( -0.399 ::t 1.621 D에서 -0.722 ::t 1.719 D) 외 유의한 증가률 보였고 (t '" 13.985, p = 0.0000), 자동각막곡훌제로 측정한 각막굴철력의 평균 변화도는 -0.02 ::t 0.246 D(43.322 :t 1.241 D에 서 43.301 ::t 1.갱OD) 의 감소률 보였으며 (t = 1.239, p = 0.217), A -Scan Ultrasonography로 측정 한 안구의 길 이 는 O.잃6 :t 0.239 mm(23.231 ::t 0.875 mm 에서 23.467 ::t 0.940 mm) 의 유의 한 중가를 보였고 (t = • 14.730, p = 0.0000), 안축장/각 막곡률비는 0.029 ::t 0.035(2.980 ::t 0.1 14에서 3.009 ::t 0.12 1)의 유의한 증가훌 보였다 (t = --12.388, p = 0.0000). 안광학상수의 변화가 굴절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축장의 증 가가 근시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온 낮은 상관성올 보였고 (Y = 0.173 + -0.198 * X; r = -0.284, p < 0.(001), 각막곡률의 감소와 근시도의 증가 사이에는 상판성이 없었다 (Y = -0.031 + -0.033 * X ; r'" -0.046, p = 0.48). 또한 정시 및 왼시군(둥가구면 굴절이상도가 -O.50D 야하)과 근시군(둥가구면 굴 절이상도가 -O.50D 이상)의 근시진행도를 비교한 결과 정시 및 왼시군(평균 변화도 -0.234 ::t 0.330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458 ::t 0.327 D) 에서 근시도가 더 크게 증가 하였고 (t'" -4.983, p = O.α)()()) , 안축장은 정시 및 원시군(평균 변화도 0.175 ::t 0.217 mm) 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331 ::t 0.241 mm) 에서 더 크게 증가하였고 (t = 4.986, p = αoα삐), 각막곡률은 정시 및 원사군(평균 변화도 -0.013 ::t 0.254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031 :t 0.233 D) 에서 더 크쩨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t = -0.513, p '" 0.608). 따라서 초등학생에서 신체의 성장과 함께 굴절상태가 근사쪽으로 진행하며 안축장 이 증가하는 반면 각막의 굴절력온 갑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시 및 정사군보다 근시군에서 근시도 및 안축장악 변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o analyse refractive error chang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growth of eye in Korean children, the cycloplegic autorefraction, autokeratometry and A - scan ultrasonography were performed over eight months on the healthy 111 children(45 boys and 66 girls) in third to fifth grade at Seoul Susak Primary School. T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measured by the cycloplegic autorefrac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of -0.323 ::1:: 0.346 D( -0.399 ::1:: 1.621 D to -0.722 ::1:: 1.719 D)(t = 13.985, p = 0.0000), the mean comeal power measured by the autokeratometry was decreased of -0.02 ::1:: 0.246 D(43.322 ::1:: 1.241 D to 43.301 ::1:: 1.240 D) (t = 1.239, p = 0.217), the axial length measured by the A -Scan Ultrasonograph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of 0.236 ::1:: 0.239 mm(23.231 ::1:: 0.875 mm to 23.467 ::1:: 0.940 mm)(t = -14.730, p = O.α)()O) and the AL/CR ratio was increased significantly of 0.029 ::1:: 0.035(2.980 ::1:: 0.114 to 3.009 ::L 0.121)(t = -12.388, p = 0.0000). In result of analysis for refractive eπor chang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growth of eye, the myopia progression is cau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xial length(Y = 0.173 + -0.198 * X ; r = -0.284, p < 0.0001), but showed the decrease of mean comeal power to the increase in myopia to be insignificant(Y = 0.031 + -0.033 * X ; r = -0.046, p = 0.48). In comparison of myopia progression between non-myopic group and myopic group, myopic group showed higher myopia progression and increase in axial length significantly than non-myopic group, the decrease in mean comeal pow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Conclusion, there were showed the myopia progression, increase ofaxial length and decrease of mean comeal power in according to growth of body, and myopia progression and change ofaxial length in myopic group was higher than of non-myopic group in Korean children.

저자
  • 마기중(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
  • 이군자(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Koon-Ja Lee
  • 장태원(서울 마누바세 안과의원) | Tae-Won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