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점안마취제가 배양 결막세포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topical anesthetics on the conjunctiva ce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현재 안과에서 점안마취제로 Alcaine싼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었다. 점안 마취제는 안압 측정, 이물 제거, 전방각경 검사, 봉합, 결막 과 각막 수술 둥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점안 마취제를 눈에 정 안했을 때 각막 상피 에 미 치 는 영 향올 알아보고자 Alcaine@ 0.5%(Proparacaine Hydrochloride 0.5% + Benzalkonium Chloride 0.01%)을 사량의 눈에 직접 점안하여 챔안 후 각막 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옳 Rose Bengal로 염색하여 Slit lamp로 조사 하였다. 또한 결막세포 (done 1- 5c -4)를 배양하여 점안 마취제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 얄아보고자 Alcaine@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각각 0.125-0.5% 농도로 15분 처 리 하여 12시 간과 24 시 간 후에 회 복효과를 조사하기 위 해 MTT assay와 LDH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증식 저해 정도첼 측정하였다.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Hematoxylin-eosin 염색 후 광화현미정으로 관찰하고, 세포자연사 (Apoptosis) 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실시하였다. Alcaine@을 눈에 점안하면 15분 후에 각막 상피가 괴사되고, 결막의 손상올 관찰 할 수 있었으며, MTT assay 결과, 세포독성판 Alcaine@처리군(0.125, 0.25, 0.5%) 에 서는 세포증식 저해가 70% 률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 0.1 25% 는 대조군과 유사하고, 0.25%에서는 많5% , 0.5% 에서는 65%로 농도 의존쩍으 화 세포 증식저해를 나타냈다. LDH 유출량은: Alcaine@ 0.25% 처리군에서는 1.8배, 0.5%에서는 4.1 배의 유출량이 나타났으며,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처리한 군에 서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세포자연사를 관찰하기 위해 Flow cytometry를 설사한 결과 AIcaine@ 0.125% 처리군과 Proparacaine hydrochloride 처리군에서는 세 포자연사 (Apoptosis) 에 의해, 고농도 Alcaineæ; 처리군(0.25, 0.5%) 에서는 세포괴사 (Necrosis)를 유도한 것으로 나타나 점안 마취제의 사용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a short-time application of ocular anesthetics( proparacaine) with benzalkonium chloride(AJ떠in댐) and unprei>erved propara않ine hydrochloride(proparacaine) in a conjunctival cell line(clone 1-5c-4), Clone 1-5c-4 @ cell line was treated for 15 min with 0.125-0.5% Alcaine"" or proparac없ne and then examined immediately, 12 h or 24 h later.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ere studied by Hematoxylin-Eosin and Flow cytometry. The cornparison between Alcaine@ or proparacaine was done with MTT assay and LDH assay treated with 0.125-0.5% of thern. Alcaine(@ induced a rapíd decrease in cell viability ranging from 70 - 85% immediately after treatrnent to 24 h later. A small initial decrease in cell viabi1ity was also obse:rved with all tested concentrations of unpreserved proparacaine. Alcaine@ and proparacaine was shown apoptot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vitro cytotoxic effects of Alcaine@ could, in part, explain some ocular su:rface díso:rders in frequently treated patients.

저자
  • 서은선 | Eun-Sun Seo
  • 이종빈 | Jong-Bin Lee
  • 유근창 | Geun-Chang Ryu
  • 김재민 | Jai-M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