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sm of Apoptosis via F AS-F AS ligand system in cultured HCE cells
본 연구는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 anti - F AS and anti - F AS ligand antibody를 노출시 킨 후 세포고사 메커니즘을 결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배양각막 상피세포에 antihuman FAS(N-18) goat polyclonal IgG를 50, 200, 500, 1,000 ng/m~ 또는 anti-human FAS ligand(C• 20) goat polyclonal IgG를 500 ng/m~으로 2 일과 4 일 동안 처 리 하였다. 주어진 기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에 부유한 세포와 부착된 세포를 원심분리와 트립 신 처리 원섬분리를 이용하여 수확하였다. 각막상피세포에 대한 anti - F AS and antiF AS ligand antibody 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oechst 33342 staining과 TUNEL stammg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세포고사 유도를 확인하였다. 세포막 수용체인 FAS protein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해 ìmmunocytochemistry 를 시행하였다. anti-FAS antìbody를 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후기 세포고사 소 견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anti - F AS ligand antibody를 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 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FAS-FAS ligand system 이 각막상피세포에 발현되었 으며 이는 정상 각막 상피 생리 즉, 세포 탈피에 중요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echanisms of corneal epithelial cell apoptosis in vitro following exposure to anti-FAS and anti-FAS ligand antibody. A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HCE) cell line was treated with antihuman FAS(N-18) goat polyclonal IgG(50, 200, 500 and 1,000 ng/rnR,) or anti-human FAS ligand(C-20) goat polyclonal IgG(500 ng/rnR,) for 2 and 4 days. Following incubation both floating and attached cells were harvested by centrifugation and trypsinization/centrifugation respectively. The effect of anti-FAS and anti-FAS ligand antibody on HCE cells was studied using Hoechst 33342 staining. The expression of F AS protein was measured by immunocytochemistry. When compared to controls, anti-FAS antibody induced a time concentration dependent increase in signs of late apoptosis. Anti-FAS ligand antibody did not cause significant apoptosis above background in HCE cells. The FAS-FAS ligand system is expressed in the comeal epithelium and could have important functions in normal comeal phys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