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구지역 20대 안경 소비자와 안경광학과 학생간의 구매 성향에 대한 비교 연구 KCI 등재

Eyeglass Consumer of the Twenties and Optiometric Students in Daegu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대구 지역 20대 안경 소비자들과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 구매 성향의 요소와 두 집단의 구매 요구에 대한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대구시 중구에서 20대 안경 착용자 200명과 안경광학과 재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안경테 선택기준, 선호하는 안경원 내부 환경, 검사소요 시간, 안경 조제 및 가공의 적정 기간, 안경원 내에서의 안경사 직무 세분화에 대한 인식에 대해 직접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대구 지역 20대 안경 착용자들은 개성적인 환경의 안경원(41%)에서 자신의 패션 스타일에 맞추어 안경테를 선택하고 있으며(72%), 10~20분 내에 시력 검사를 하고(53%) 당일 바로 조제된 안경이 피팅되기를 원하며(47%), 이 모든 과정이 한 명의 담당자가 수행해 주기를 원하거나(47%), 시력 검사, 안경 조제, 상품 선택의 과정이 세분화된 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었다(46%).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단색의 조화를 이룬 디자인의 안경원이나(38%) 개성적인 환경의 안경원에서(35%) 본인의 얼굴형에 맞추어 안경테를 선택하고(48%), 10~20분(41%) 또는 20~30분(38%) 동안 검사를 받고, 당일 바로 조제된 안경이 피팅되기를 원하며(65%), 시력 검사, 안경 조제, 상품 선택의 과정이 세분화된 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었다(55%). 결 론: 본 연구 결과 20대 안경 소비자들은 더욱 개성적인 안경원에서 자신의 패션 스타일에 맞추어 안경을 선택하기를 원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고객으로 맞이하게 될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생각과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은 이를 고려하여 예비 안경사로서 젊은 고객들의 구매 성향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difference of purchasing propensity between consumer of the twenties and Optometric students in Daegu City. Methods: A survey was carried out, in Jung-Gu, Daegu City, with 200 eyeglass wearers of the twenties and optometric students. The Questionnaire includes criteria for selection on a frame, preference on shop environment, time for eye-test, processing of product, and subdivision of opticians duties. Results: Eyeglass wearers of the twenties in Daegu City prefers to select fashionable frame (72% of wearers) in a characteristical optical shop(41%). They also prefer to have refraction within 10 to 20 minutes(53%) and prefer to have fitted glasses within a day the visited(47%). 47% of wearers wants to have individual optometrist during all the processes involved in purchasing and producing glasses. However, 46% want to have specified optometrist during different processes in refraction, glass possessing, and selection on the glasses and frame. Optometric students prefer to get their glasses in the shop decorated one colour(38%) or characteristic shop(35%). They also prefer to select their frame which fits to their face shape(48%), and prefer to have refraction within 10 to 20 minutes(41%) or 20 to 30 min.(38%). They want to have fitted eyeglass within a day they visited(65%), and want to have specified optometrist during the process of refraction, glass processing, and selection of the eye glasses. Conclusions: Survey results showed that eyeglass consumer of the twenties want to get their glasses in a more characteristic optical shops, and also suggest that they want to select their eyeglass fitted to their own fashion style.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purchasing preferences between eye wearers of the twenties and Optometric students. This result suggests that Optometric students should prepare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 purchasing propensity of customers of the twenties.

저자
  • 이지영(대구산업정보대학 안경광학과)
  • 오현진(마산대학 안경광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