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기분해 자동분석법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산소침투성 측정 KCI 등재

Oxygen Permeability (DK) measurment of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by polarographic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전기분해 자동분석법(polarographic method)을 이용한 산소침투성 측정장비의 신뢰도를 평가하 고,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재질들의 산소침투성(Oxygen permeability; Dk)을 측정 하여 제조사에서 제시된 값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Dk 값이 제시되어 있는 -3.00D의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의 콘택트렌즈 8종을 선 정하고, 전기분해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산소침투성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 표본은 국제표준화기구(ISO) 규정에 따라 측정하고 Fatt와 Chasten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결 과: 8종의 시료 가운데 5종은 제조사에서 제시한 Dk 값보다 약간 높게 측정되었으며, 3종은 제조사에 서 제시한 값보다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한 가지 두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Dk 값과 여러 가지 두 께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계산한 Dk 값은 큰 차이가 있었으며, 여러 가지 두께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계 산한 Dk 값의 신뢰성이 더 높았다. 결 론: 3종의 콘택트렌즈는 제조사에서 제시한 Dk 값보다 다소 낮게 측정되었으나, 편차를 감안한 값들 의 일부는 제시된 Dk 값을 기준으로 ISO에서 정한 오차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전기 분해 자동분석기의 성능은 ISO 규격에 적합하며, Dk 값을 측정할 때 여러 가지 두께의 콘택트렌즈를 측정하 여 계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equipment system which was designed for measuring oxygen permeability (Dk) of contact lenses by polarographic method, and the Dk of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s with using this equipment system. Methods: 8 kinds of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s, which have Dk values provided by manufacturers, with -3.00D were selected for the measurement. Each sample were measured by polarographic method, and the measurement result was utilized to determine Dk values using Fatt and Chasten`s equation. Results: Five contact lenses among the eight kinds showed a slightly higher Dk values than the ones supplied by the manufacturers, and three contact lenses showed a slightly lower Dk values than the ones supplied by the manufacturers. A large Dk difference between a sample with one thickness and the samples with various thicknesses resulted in a more reliable Dk value with using the samples of various thicknesses than those of single thickness. Conclusion: Most Dk values were compatible to the ISO even though three contact lenses showed a slightly lower Dk values than the ones supplied by the manufacturers. As consequence, the equipment system used for polarographic measurement in this study was adequate to the ISO specification. Also, it was recognized that Dk values using contact lens of various thicknesses were more accurate than the ones using contact lens of single thickness.

저자
  • 오승진(전북과학대학교 안경광학과, 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Seung-Jin Oh
  • 두하영(전북과학대학교 안경광학과) | Ha-Young Doo
  • 마기중(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