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시와 근시에서 양안 조절근점과 폭주근점 간의 상관관계 KCI 등재

Correlation between N.P.A. And N.P.C. In Emmetropia and Myop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정시와 근시에서 양안 조절근점과 폭주근점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과 전신질환, 사시 및 약시가 없고 나안 또는 교정시력이 1.0 이상이며, 근거리 사위, 입체시, 양안 조절근점,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검사에서 정상으로 판명된 33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양안 조절근점과 폭주근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양안 조절근점과 폭주근점 간의 상관관계는 정시에 비해 근시에서 낮았으며, 단순 근시와 근시성 직난시에 비해 근시성 도난시와 근시성 사난시에서 낮았다. 결론: 근시 원용안경의 조절효과와 프리즘효과에 의해 근거리를 주시할 때 필요한 조절력과 폭주각이 서로 다른 비율로 변하게 되어 정시에 비해 근시에서 양안 조절근점과 폭주근점 간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wtween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 andN.P.C(Near point of Convergence) in emmetropia and myopia.Method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P.A and N.P.C., wc targeted 323 highschlool students who don`t have any ophthalmic or systemic disease and having over 1.0 corrected vision. Also they turned out to be nomal in all preliminary test.Results : The correlation between N.P.A. and N.P.C. in myopia was lower compared to emmetropia.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correlation was lower in both myopia of astigmatism against the rule and with the oblique compared to the simple myopia and myopis of astigmatism with the rule.Conclusion: Weassume that the reason of low relationship bwtween N.P.A. and N.P.C. in myopia comepared to emmetrooia is because of different change ratio bwtween an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an angle of convergence. The reason of this phenomenon is explained by the accommodation effect and the prism effect of the lens when we have to focus on the near point.

저자
  • 정근승(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 Keun-Seung Jeong
  • 유근창(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 Geun-Chang Ryu
  • 전진(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 Jin 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