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도와 안광학 상수의 상관성 분석 KCI 등재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ocular parameters in adults and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 간에 상관성이 감소하는 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방 법: 청주에 거주하는 194명(성인 116명, 아동 78명)을 대상으로 자동굴절력계와 안구계측기로 굴절검 사와 안광학 상수를 측정하였다. 각막곡률반경과 전안방 깊이는 전안부 안광학 상수로, 안축장은 후안부 안 광학 상수로 이용하였다. 전안부와 후안부의 통합된 안광학 상수인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의 비(AL/CR ratio)와 굴절이상 정도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각 안광학 상수와 굴절이상 정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안축장에 따라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이 없어지는 값을 찾고, 이를 등가구면굴절력으로 제시하였다. 결 과: 성인과 아동에서 굴절이상 정도와 안광학 상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안축장과 각막곡률반경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보다 안축장 대 각막곡률반경비(AL/CR ratio)로 나타날 때 설명력이 높았다(아동 그룹 r2=0.681, p=0.000, 성인 그룹 r2=0.723, p=0.000). 성인과 아동에서 전안부와 후안부의 안광학 상수 사이 에 상관성이 없어지는 안축장의 길이를 찾았다. 아동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안축장 24 mm 를 기준으로(r=-0.174, p=0.238),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5 mm를 기준으로(r=-0.153, p=0.585) 안축장 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에서 각막곡률반경과 안축장의 상관성은 24.5 mm를 기준으로, 전안방 깊이와 안축장은 26.0 mm를 기준으로 안축장이 길어질 때 상관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r=0.178, p=0.083, r=0.054, p=0.796). 기준점이 되는 각 안축장 값을 등가구면굴절력으로 나타냈 을 때 아동에서 24 mm는 약 -1.30D, 25 mm가 약 -3.20D로 나타났고(r2=0.609) 성인에서 안축장 24.5 mm가 약 -2.10D, 26 mm가 약 –4.30D로 나타났다(r2=0.450). 결 론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은 정시를 벗어나 어느 정도 비정시가 된다 하더라도 지속적인 상관관계 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시화는 특정 나이나 시력에 대한 기존의 기준과 더불어 지속적 연구를 통해 안광학 상수 간의 상관성 유무에 대한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decreasing point of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refractive error and the ocular parameters in adults and children. Methods: Subjects were 194 (116 adults, 78 children) living in Cheongju. The refractive error and ocular parameters were measured using a Auto-Refractor (RK-1, Canon, Japan) and IOL master (Carl Zeiss Meditec, Germany), respectively. Anterior ocular parameters were included corneal radius (CR) and anterior chamber depth (ACD), and the axial length (AL) was considered as a posterior parameter. The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refractive error and AL/CR ratio as a integrated ocular parameters for anterior and posterior parts was showed.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refractive error and ocular parameters, it was found the value in spherical equivalent that there were no correlation among the ocular parameters with axial length.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refractive error and ocular parameters in adults an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stronger with AL/CR ratio than with AL and CR alone (children r2=0.681, p=0.000; adults r2=0.723, p=0.000). It found the size of AL to disappear the correlation between anterior and posterior ocular parameters in adults and children. The correlation between CR and AL was not found in eyes with longer AL the criterion for 24 mm (r=-0.174, p=0.238), ACD and AL also was not found in eyes with criterion for 25 mm in children (r=-0.153, p=0.585). In adults, the correlation of between CR and AL was not found in eyes with longer AL the criterion for 24.5 mm (r=0.178, p=0.083), also ACD and AL was not found in eyes with criterion for 26.0 mm (r=0.054, p=0.796). When the criterion of AL was converted distance (mm) into diopters (spherical equivalent), AL 24 mm was corresponded to -1.30D, 25 mm was to -3.20D in children (r2=0.609), and AL 24.5 mm was to -2.10D, AL 26 mm was to –4.30D in adults (r2=0.450). Conclusion: The correlation among ocular parameters was existed continuously, if ever the refractive state was far from emmetropia. Therefore, the emmetropization should be consider that correlation among the ocular parameters as well as the criteria for age and visual acuity.

저자
  • 김정현(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Jung-Hyun Kim
  • 이 현(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Hyun Lee
  • 이강오(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Kang-Oh Rhee
  • 김용대(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Yong-Dae Kim
  • 김 헌(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He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