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성별에 따른 안경광학과 대학생활 적응과 학과 적응에 관한 연구 -정서적 차원 중심으로- KCI 등재

Study of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Department Adaptation Depended on Gender in Dept. of Optometry - Focusing on the Emotional Dimens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과 적응을 성별에 따른 각각 다른 관점에서의 접근을 통해 부적응 학생들의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에 좀 더 차별화되고, 입체적인 접근을 돕고자 한다. 방 법: 충청지역 안경광학과 3년제 대학생 156명과 4년제 대학생 187명으로 총 343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도와 학과 적응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학과 적응에서 대학생활 적응도는 남학생은 3.24와 여학생은 3.12로 남학생이 다소 높은 대학생활 적응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의 적응도는 각각 남학생이 3.78과 2.51로 3.54와 2.19의 여학생 보다 다소 높은 학과 적응 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과 0.00). 환경적 차원의 적응도 에서도 남학생3.15와 여학생 3.04로 남학생이 다소 높은 적응도를 나타내었지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 론: 미래 전문 의료분야에서 일하게 될 남녀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정서적 불안정성의 심각성을 안광학계 모두가 인지하고, 이에 대한 예방과 증진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이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get a different and stereoscopic accessibility for life and career coaching of maladjusted students through analyz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department adaptation, different point of view and approaching by gender in Dept. of Optometry. Methods: Recipient is 343 students who are 156 3-years course students and 187 4-years course students. Compare and analyze with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department adaptation by gender. Resul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by gender from male students is 3.24 and 3.12 from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shows little bit higher value than female students and it shows correlation in statistically(p=0.00). Adaptability of cognitive and emotional field from male students is 3.78 and 2.51. Adaptability of recognition and emotion from female students is 3.54 and 2.19. Male students show higher adaptability of department than female students and it shows correlation in statistically(p=0.00 and 0.00). Male students(3.15) show higher adaptability of environmental field than female students(3.04), however, it doesn`t show correlation. Conclusion: Every member of academics overall should recognize a magnitude of lability from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will work for medical field in near future. It needs continuous attention and seek for solution to prevent and improve.

저자
  • 예기훈(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Ki-Hun Ye
  • 김세진(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Se-J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