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취학 아동 및 청소년의 미교정 굴절이상안의 실태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Uncorrected Refractive Error of Pre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굴절이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경을 착용 하지 않거나 미교정한 자의 시력실태파악을 통해 안보건 및 눈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 해 미취학 아동 및 청소년으로 안경착용 완전교정 318명과 안경 미(未)착용 미(未)교정자 232명을 대상으로 안과검사 여부 및 시기, 연령대, 가구소득의 상관성을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으며, 유의 수준 은 p<0.05로 처리하였다.
결 과: 안경을 미착용하거나 미교정한 자들의 연령별 교정 전·후 시력은 5~6세는 0.53에서 0.81, 7~9 세는 0.44에서 0.91, 10~12세는 0.42에서 0.91, 13~15세는 0.38에서 0.94, 16~18세는 0.38에서 0.96으로 각각 현재는 매우 낮은 시력의 상태이지만, 교정 후 매우 높은 교정시력을 나타내었다.
결 론: 시력보정 기기를 통해 충분히 더 낳은 시 생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는 학생들의 더 높은 삶의 질을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We wish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a eye healthcare and eye care management through actual condition survey of the people who not using glasses in spite of refractive error.
Methods: We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period of ophthalmic examination, ages and income on 318 subjects who is wearing corrected glasses and 232 subjects who is not wearing glasses. We used SPSS 18.0 to analysis the survey and set significant level as p<0.05 statistically i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2010.
Results: According to age of subjects who is not wearing glasses, visual acuity of before and after was showed by 5-6ages 0.53 and 0.81, by 7-9ages 0.44 and 0.91, 10-12ages 0.42 and 0.91, 13-15ages 0.38 and 0.94, 16-18ages 0.38 and 0.96. Although current vision is very low, but showed a very high-corrected visual acuity after correction.
Conclusion: For the people who don’t correct even though it will be improved eyehealth by using corrected, more effort and attention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a higher quality of life for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예기훈(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Ki-Hun Ye (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 이완석(성덕대학교 안경광학과) | Wan-seok Lee (Dept. of Optometry, Sungduk C.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