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HA(Hyaluronic acid)를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과 화학적 공유결합(terpolymerization) 방법으로 첨가한 후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함수 율과 광투과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방법: HA의 첨가는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IPN 방식으로 HA를 첨가하는 방법과 콘택트렌즈 제 조에 사용되는 HEMA 모노머에 methacrylate가 결합된 mHA를 합성시키는 화학적 공유결합 (terpolymerization)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제조하였다. 광투과율은 300~800 nm 범위에서 UV-Visible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5 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결과: 두 방법에 의해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은 모두 90%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 내었다. 함수율은 HA를 첨가하기 전(52.68%)보다 첨가한 후(57.60~60.88%)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공유결합을 이용한 방법보다 IPN을 이용한 방법의 함수율 증가가 조금 더 높 게 나타났다. 결론: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에서 90%가 넘는 광투과율이 나타난 것은 HA와 콘택트렌즈 모 노머와의 결합이 상분리 없이 잘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HA의 화학구조에 하이 드록실기(hydroxyl group)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함수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mHA가 콘택트렌즈 내부에 분포되는 공유결합 방법에 비해 IPN에 의한 HA의 첨가 방법은 렌즈 표면 에 HA가 많이 존재하여 함수율의 증가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