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and the Visibility of Humanbeing
황금분할(Golden Section)은 고대부터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이상적인 비율로, 자연계의 모든 대상을 포함하는 동시에 비 트루비안(Vitruvian)과 같이 인체의 외부 형태에도 확연히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여러 기관 중에서 시각경 험을 담당하는 눈에 초점을 맞추어 인체의 외부 형태로서 눈의 특징과 함께, 눈과 뇌의 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시각 활동 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즉 이것은 시야각(FOV : Field of View)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방형의 눈에 영향을 받으며 G. 페흐너(G. Th. Fechner)의 실험에서처럼 심리적인 요인도 적용된다. 따라서 예전부터 사용되어왔던 4:3형식의 비율이 16:10의 비율을 가진 디스플레이로 전향된 것은 인간의 눈에 근거한 가장 이상적인 비율을 찾기 위한 노력이고 볼 수 있 다. 특히 이것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환경보다 더욱 황금비율에 근접한 비율로 잉여공간이 가장 적은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최적화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는 하나의 기준으로써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인 동시에 그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듈의 개발은 앞으로 전개될 디스플레이 화면비율의 결정에 있어서 선구적 역할을 담 당하게 될 것이다.
Golden Section has been the most rational and idealistic ratio since the ancient times, and it is illustrated in every object in the space and the natural world, as well as the Vitruvian human frame. Thus, this analysis focuses on the visual experience of human eyes among various parts of the body organs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yes as outer organ, and comment on the implementations of eyes and brain’s coordination. These are involved with the Field of View; since the human eyes are horizontally cut, the Field of View is influenced by such shape and also other psychological issues stated in G.Th. Fechner’s experiment. Therefore, To be converted from the old 4:3 ratio of type that has been used since to the display with the rate of 16:10 is an effort to find the ideal ratio based on the human eyes. In particular, it has the smallest forms of the surplus space at a approched rate to the golden ratio more than conventional display environment. Therefore, A Study on the display optimized can be the basis of elements to assess Design and the one to become indices to grasp the nature of a thing at the same time. The module‘s development is expected to be a pioneering role in the decision of display screen ratio going for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