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및 미얀마에서 재배된 삼채뿌리의 항산화, α-Glucosidase 저해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 KCI 등재 SCOPUS

Evaluation of antioxidant, α-glucosidase inhibition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ctivities of Allium hookeri root grown in Korea and Myanm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9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는 선행 연구된 삼채뿌리의 뛰어난 영양성을 토 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고 활용도 를 높이고자 국내산 및 미얀마산 삼채뿌리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삼채뿌리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 라보노이드 함량은 국내산 삼채뿌리가 각각 5.27 mgGAE/g, 0.35 mgQE/g, 미얀마산 삼채뿌리가 각각 4.80 mgGAE/g, 0.24 mgQE/g으로 국내산 삼채뿌리가 더 높은 함량을 나타 냈다. 삼채뿌리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미얀마산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ABTS 라디 칼 소거능과 Fe2+ 킬레이팅 활성, 환원력은 국내산이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국내산의 저해활성이 미얀마산 삼채뿌리의 저해활성보다 더 높았으 며 대조구인 acarbose에 비해서도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였 다.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50 mg/mL 농도에서 국내산 삼채뿌리가 51.44%로 44.33%의 저해활성을 보인 미얀마산 삼채뿌리보다 더 높은 저해활성 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삼채뿌리 특히 국내산 삼채뿌리 는 높은 항산화 활성, α-glucosidase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을 보여 혈당조절제, 치매예방 및 개선제로써의 활용가능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써 기능성 식 품소재로의 활용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향후 국내산 삼채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여러 지역에서 재배된 삼채의 기능성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unctionality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dementia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Allium hookeri root grown in Korea (KR) and Myanmar (MR).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KR and MR were 5.27 and 4.80 mg GAE/g, and 0.35 and 0.24 mg QE/g, respectively. KR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than those of MR (p<0.05). The IC50 values of KR and MR were 6.53 and 5.31 mg/mL, respectively,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KR had a significantly high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2+ chelat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compared with those of MR (p<0.05). In the evaluation of anti-diabetic activity, K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than acarbose and MR at whole concentrations (p<0.05). KR and MR ha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ctivities that of 51.44% and 44.33%, respectively, at a 50 m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oots of A. hookeri, especially KR, could be useful in improving diabetic and dementia disorders due to their high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dementia activitie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References
저자
  • 박주영(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Joo Young Park
  • 윤경영(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Kyung Young Y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