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해안림의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층구조의 혼효림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위치한 기지포, 춘장대, 장항 및 구시포 등 4개 지역의 해안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식물상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개의 조사지역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조사지역에 따라 일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소나무,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산벚나무, 상수리나무 및 밤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4개 지역 해안림의 곰솔군락은 전반적으로 어린 개체와 큰 개체의 밀도보다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곰솔군락으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구시포 해안림의 경우는 지형적인 입지여건에 따라 장기적으로 참나무류의 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조사대상지에서 총 205종의 식물 종이 조사되어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구조의 해안림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곰솔림의 간벌, 통행로 설치, 이용구역 제한 등의 관리를 통해 다양한 식생이 침입하여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forests and to figure out if there is possibilities to develop the forests into mixed stand multistory forests and to suggest some sound management practices. The vegetat- ion structure and flora of four sites; Kijipo, Chunjangdae, Janghang and Kusipo in the west coastal fores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 the every site, Pinus thunbergii was dominating the tree layer in the forests. And P. densiflora, Robinia pseudoacacia, Quercus serrata, Prunus sargentii var. sargentii, Q. acutissima and Castanea crenata were dominating the subtree layers in some sites. P. thunbergii stands in four sites would maintain for a while since the populat- ion density of middle aged group is higher than those of young and old group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astal forests in Kusipo site would progress into oak tree stands in the long run. The biodiversity was quite high to have 205 taxa in the study sites. To induce the coastal forests into multistory forests, P. thunbergii stands need to be thinned. And then creating the environment including making some pathways and site usage rest-riction is needed to let new diverse plants could come in and grow for a success-ful multistory for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