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 비교 연구 KCI 등재

A Comparative Case Study on a Teacher-l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a Principal-l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2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로 형성된 교사학습 공동체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교사학습공동체의 촉진 요인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 학생의 학습에 초점을 맞춘 목 표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표와 가치 공유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원동력이 되었다. 공동체의 목표와 가치는 외부에서 주어지기 보다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반성적 대화를 통해 공유했을 때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학교장의 격려와 지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내 촉진자의 정서적 지지 및 리 더십 공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구성원들 간의 반성 적 대화는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되고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교사들 의 자발적 의지로 시작된 공동체에서 실천에 대한 반성적 대화뿐만 아니라 가정 및 신념 등에 대한 반성적 대화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졌다. 넷째, 두 교사학습공동체 모두에서 공유된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력적 탐구와 실천 공유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교육실천과 연계된 교사학습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협력적 탐구의 지속성과 실천 공유 방식에 있어서는 두 사례의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교사학습공동체 촉진 요인으로는 교사의 자율성, 구성원들 간 신뢰 및 지원, 학교장의 압력 및 지원, 충분한 시간, 그리고 구성원들의 협력적 탐구 의지와 집단 책임 감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발전시키 는 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cases of a teacher-l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and a principal-led PLC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LC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facilitating PLC.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LCs shared goals and values with a focus on students' learning and these shared goals and values were the driving force behind PLCs. When teachers had enough time and communicated through reflective dialogue rather than being told to share the goals and values of PLC, the shared goals and values led to their voluntary and active cooperation. Secondly, the principal‘s support, as well as the emotional support and shared leadership of the facilitator appeared to be important. Third, reflective dialogue among teachers in the PLCs was an essential foundation to build and sustain a PLC. Reflective dialogue on the practice, as well as reflective dialogue on the assumptions and beliefs were developed more in depth in the teacher-led PLC. Fourth, teachers in the PLCs inquired collaboratively and shared their practices to achieve the shared goals of PLC. In the process, the teacher learning associated with educational practices took place.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ses in the persistence of collaborative inquiry and the way to share practices. Fifth, the factors facilitating PLC included teacher autonomy, trust and support among teachers, the principal’s pressure and support, sufficient time for collaboration and teachers’collective responsi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sustaining PLCs in elementary schools.

저자
  • 오지연(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Oh, Ji-Yeon
  • 최진영(이화여자대학교 부교수) | Choi, Jin-Young 교신저자
  • 김여경(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Kim, Yeo-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