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U 정부조달법제의 회원국(독일)에서 실현 체계 - EU법상 하도급 법리(1) - KCI 등재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ment Procurement Legal Structure of European Union in his Member State(Germany) - Focusing on the Subcontract in European Directive(1)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277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조달에 있어 하도급에 관한 부당·위법한 행태들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EU의 정부조달법제 속에서 하도급 공정화에 관한 규정과 그 제도적 의의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 우리 법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언에서는 우리 나라 정부조달에 관한 의의와 그에 비례하여 자주 발생하는 하도급 불공 정의 실태를 살피고, 연구의 기본 방향을 개관하였다. Chapter II에서는 EU 정부조달법상 기본원리와 전체 EU 차원의 체계를 살피고, EU 정부 조달규정과 WTO 하의 GPA와의 관계를 개관하였다. Chapter III에서는 EU 정부조달법의 세 기둥이 되는 2004/18/EG, 2004/17/EG 그리고 이 들의 권리구제에 관한 지침(2007/66/EG)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Chapter IV에서는 이들 세 개의 지침상 하도급으로 인한 위법·부당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제도적 내용들을 분석하고, 마지막 Chapter에서 는 각 Chapter의 핵심을 요약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시한 주요 내용 은 Chapter IV에서 제시되었는데, 첫째 EU법에서는 공적인 손(공공발주 자)이 낙찰자와 하도급자 간의 사법적 하도급 법률관계에 개입하여 양자 간의 불공정 관계를 예방 내지 시정한다는 점이다. 둘째, 낙찰자가 하도 급을 할 의도가 있는 경우, 공공발주자와 체결하는 계약서에 하도급의 비율을 명기하고, 그 이외 부분에 대해서는 낙찰자가 직접시공하는 방식 을 취한다는 것이다.

According to necessity ameliorating problems of unfairness of subcontract in Korea this study aims to revise unlawful and unreasonable forms in subcontract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subcontract legal system in european law. For this purpose author tries to analyse the three Directives(in German 'Richtlinien') of european union, directive 2004/18/EG, 2004/17/EG and 2007/66/EG. Except directive 2004/18/EG, 2004/17/EG, as ever there are no sufficient studies on the jurisprudent remedy system about 2007/66/EG, author introduce its characteristic and contents. In first chapter author displays the meaning of government procurement, some divers unlawful practise of subcontract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study and method ect. In second chapter author describes the structure and basic principals of Government Procurement Law of European Union, and tries to understand relation between EU Government Procurement Law and Agreement on Government Procurement(GPA). In third chapter author tries to analyses thecontents of three Directives 2004/18/EG, 2004/17/EG and 2007/66/EG, especially the content of Directive 2007/66/EG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Academic. In forth chapter researcher makes efforts to find implications through the Provisons 25 and 60 Directive 2004/18/EG and the Provison 37 Directive 2004/17/EG. In last chapter researcher summarise the essential points of each chapters. As conclusion of study author suggests two implications for improving unfairness problems of subcontract. First, the EU Government Procurement Law tries to protect the unfairness problems of subcontract through the 'Public Hand' which is public constituent(Auftragsgeber). Second, the contract partner should write cleary subcontract rate in contract paper, and the last position should do directly by self.

목차
Ⅰ. 서 언
Ⅱ. EU 정부조달법제의 발전
1. EU 정부조달원리의 생성
2. EU 정부조달법의 구체화
3. EU 정부조달법과 정부조달협정(GPA)
Ⅲ. EU 정부조달법제의 구조와 내용
1. 일반론
2. 지침 2004/18/EG
3. 지침 2004/17/EG
4. 지침 2007/66/EG
Ⅳ. EU 정부조달법상 하도급법리
1. 공적인 손에 의한 공개방식
2. 하도급의 비율명기와 직접시공
Ⅴ. 결 어
저자
  • 강기홍(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대(행정학과) 교수) | Kang, Kee Hong